등골 휘는 학부모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입학 댓글 0건 조회 736회 작성일 09-03-13 21:49본문
카이스트, 포항공대에 이어 고려대, 한국외대 등이 입학사정관제를 통한 신입생 선발을 확대하겠다고 발표하고 있다.
최근에 와서 입학사정관제가 부각되고 있기는 하지만, 사실 이 제도의 도입은 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4년 대통령자문 교육혁신위원회에서 제안하고 당시 안병영 교육부총리가 정책으로 구체화시킨 제도이다.
이명박 정부에서도 공교육정상화, 사교육비 절감, 그리고 대학자율화라는 세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을 수 있는 정책수단으로 인식하고 입학사정관제도를 적극 추진하기에 이른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입학사정관제도는 노무현 정부에서 입안한 제도를 이명박 정부에서 더욱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는 유례없는 정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입학사정관제의 생명력은 길게 갈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입학사정관제가 우리나라에 성공적으로 뿌리내리기 위해서는 정부, 대학, 학부모 간 신뢰의 확보가 무엇보다도 중요한다.
입학사정관제의 키워드는 공교육정상화와 잠재력에 의한 선발이다. 따라서 입학사정관제를 도입, 확대하면서 대학은 공교육 정상화에 기여할 수 있는 길을 찾는데 심혈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자칫 입학사정관제가 특목고 우대나 특정 지역 우대를 할 수 있는 방편으로 악용되거나 대학의 자의적인 학생선발을 '자율'이라는 이름으로 포장하기 위한 방편으로 쓰인다면, 이 제도는 영영 한국 사회에 발붙이지 못할 수도 있다.
또한 학생의 잠재력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기준을 정교화하고 또 이를 제대로 평가할 수 있는 인력을 길러내는데 힘을 쏟아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학생이 갖고 있는 소질과 능력의 다양한 측면을 검토하는 동시에 학생의 대학에서의 학업능력, 사회진출 후의 성과 등을 검증할 수 있는 자료의 축적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지난 며칠 사이에 몇몇 대학이 발표한 입학사정관에 의한 학생선발 확대는 환영할 만한 일인 동시에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현재 각 대학에는 손으로 꼽을 만한 수의 입학사정관만이 채용되어 있는 실정인데 올해 입시부터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수 백 명을 선발한다니 과연 그럴 수 있는 것인지 걱정이 된다.
아무리 좋은 정책이라도 정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전제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책의 성공을 위해서는 점진적인 정책추진이 중요하다. 입학사정관제의 도입도 전제조건을 충족시키면서 점진적으로 접근할 때 성공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공교육 정상화가 하루 아침에 이루어지지 않듯이 입학사정관제의 정착도 하루 아침에 이루어지지 않는다. 기대가 아무리 크더라도 점진적 개혁의 지혜를 믿고 철저한 준비와 정부-대학-학부모 간 신뢰 회복부터 해나가는 것이 일의 순서일 것이다.
최근에 와서 입학사정관제가 부각되고 있기는 하지만, 사실 이 제도의 도입은 노무현 정부 시절인 2004년 대통령자문 교육혁신위원회에서 제안하고 당시 안병영 교육부총리가 정책으로 구체화시킨 제도이다.
이명박 정부에서도 공교육정상화, 사교육비 절감, 그리고 대학자율화라는 세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을 수 있는 정책수단으로 인식하고 입학사정관제도를 적극 추진하기에 이른 것이다.
이렇게 본다면 입학사정관제도는 노무현 정부에서 입안한 제도를 이명박 정부에서 더욱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는 유례없는 정책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입학사정관제의 생명력은 길게 갈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입학사정관제가 우리나라에 성공적으로 뿌리내리기 위해서는 정부, 대학, 학부모 간 신뢰의 확보가 무엇보다도 중요한다.
입학사정관제의 키워드는 공교육정상화와 잠재력에 의한 선발이다. 따라서 입학사정관제를 도입, 확대하면서 대학은 공교육 정상화에 기여할 수 있는 길을 찾는데 심혈을 기울여야 할 것이다.
자칫 입학사정관제가 특목고 우대나 특정 지역 우대를 할 수 있는 방편으로 악용되거나 대학의 자의적인 학생선발을 '자율'이라는 이름으로 포장하기 위한 방편으로 쓰인다면, 이 제도는 영영 한국 사회에 발붙이지 못할 수도 있다.
또한 학생의 잠재력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기준을 정교화하고 또 이를 제대로 평가할 수 있는 인력을 길러내는데 힘을 쏟아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학생이 갖고 있는 소질과 능력의 다양한 측면을 검토하는 동시에 학생의 대학에서의 학업능력, 사회진출 후의 성과 등을 검증할 수 있는 자료의 축적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런 측면에서 볼 때, 지난 며칠 사이에 몇몇 대학이 발표한 입학사정관에 의한 학생선발 확대는 환영할 만한 일인 동시에 우려를 자아내고 있다.
현재 각 대학에는 손으로 꼽을 만한 수의 입학사정관만이 채용되어 있는 실정인데 올해 입시부터 입학사정관 전형으로 수 백 명을 선발한다니 과연 그럴 수 있는 것인지 걱정이 된다.
아무리 좋은 정책이라도 정책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전제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따라서 정책의 성공을 위해서는 점진적인 정책추진이 중요하다. 입학사정관제의 도입도 전제조건을 충족시키면서 점진적으로 접근할 때 성공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공교육 정상화가 하루 아침에 이루어지지 않듯이 입학사정관제의 정착도 하루 아침에 이루어지지 않는다. 기대가 아무리 크더라도 점진적 개혁의 지혜를 믿고 철저한 준비와 정부-대학-학부모 간 신뢰 회복부터 해나가는 것이 일의 순서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