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부모와 교사가 살리자

페이지 정보

작성자 공교육 댓글 0건 조회 893회 작성일 09-03-17 15:53

본문

공교육, 학부모와 교사가 살리자

선생님 한 명이 학교를 살렸다. 김영숙 서울 덕성여중 교장은 ‘지원기피 학교’를 ‘사교육없는 오고 싶은 학교’로 만든 장본인이다. 그는 덕성여고 국어 교사 시절 7년간 방과후 수업을 지도해 명문대 합격생을 배출하는 명문고교로 변신시켰다.
 
 그리고 지난해 9월 같은 학원 덕성여중 교장으로 부임하면서 솔선수범했다. 오전 7시에 출근해 밤 11시에 퇴근하면서 학교를 바꿨다. 학교에서 잘 가르칠 테니 학원에 보내지 않아도 된다고 당부했다. 김 교장의 솔선수범에 학부모들도 하나둘씩 따랐다. 학생들도 수준별 수업과 일대일 지도에 힘입어 성적이 올랐다. 공교육을 강화해 사교육을 축소시킨 김 교장은 요즘 ‘공교육의 상징’으로 떠올랐다.

교사가 사명감 갖고 가르치도록 분위기 조성해야

국내뿐 아니다. 우리는 한 위대한 선생님의 승리 사례를 이웃 일본에서도 발견한다. 도쿄 시나가와 여중 우루시 시호코 교장은 폐교 직전의 학교를 일류학교로 변신시켰다. 시호코 교장은 스스로 진로를 선택하고 실천하는 라이프디자인 교육을 통해 모두가 가고 싶은 학교로 바꿨다.
 
그는 “너희들이 28살이 되었을 때 진정으로 하고 싶은 일이 무엇인가를 지금부터 찾아라”고 호소했다. 이어 “28살에 목표한 일을 할 수 있도록 학교가 열심히 지도하겠다”고 강조했다. 동기부여 교육 진로교육에 힘입어 시나가와 여중은 지금 명문교로 떠올랐다.

어디 선생님뿐인가. 학부모가 나서 사교육 폐해를 줄였다. 서울 창덕궁 옆 ‘엄마학교’ 서형숙 교장은 순수한 풀뿌리 학부모운동으로 사교육에 찌든 학부모들의 마음을 얻었다. 사교육에 지친 엄마들은 ‘좋은 엄마’ ‘기쁜 엄마’ 등의 교육과정을 통해 서로를 위로하고 어린이들이 학원을 선택케 했다. 하루 5곳에서 10곳까지 사교육을 받던 어린이들은 엄마들의 지원에 힘입어 사교육을 줄였다. 서 교장은 지금 ‘엄마학교’를 사교육줄이기 운동 모델로 발전시키고 있다.

정말 우리 공교육은 위기이다. 지난 2월 교육과학기술부와 시도교육감협의회 교원단체총연합회 등이 공교육활성화를 위한 공동선언 선포식을 가진 것이 이를 입증한다. 이들은 이날 교육당국과 교원이 힘을 합쳐 공교육의 신뢰성을 회복하고 사교육비를 줄여 교육경쟁력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사실 이명박 정부의 교육정책은 사교육비를 줄이는 것이 아니라 사교육을 조장하는 방향으로 시행됐다는 비난이 있다. 영어몰입 교육과 서울의 국제중 설립, 그리고 자율형 사립고 확대 등 발표한 교육정책은 경쟁을 부추기는 것으로 학생들은 경쟁력있는 사교육기관을 찾을 수밖에 없었다.
 
 이에 사교육비를 절반으로 줄이겠다는 공약과는 달리 지난해 사교육비는 오히려 4.3% 늘어났다. 이명박 정부의 자율과 경쟁은 결국 우리 헌법 이념인 ‘교육의 평등’을 해소하기 보다는 오히려 해쳤다는 비판이 늘고 있는 것이다.

물론 정부의 역할은 중요하다. 방과후 자율수업, 외부인사 특강 등과 학원비 과다인상 단속 등으로 사교육비 부담을 줄일 수 있다고 생각해서는 곤란하다. 정부는 선생님들 사기를 진작해 부모보다도 더 학생들을 사랑하면서도 가르치도록 해야 한다.
 
교사가 사명감을 가지고 학생을 가르치도록 예우하고 대접하는 풍토조성도 시급하다. 현재 공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의 자질은 어느 부분보다 훌륭하다. 그런 선생님들이 자부심을 갖고 사도를 실천하도록 정부가 앞장서야 한다. 선생님들을 기분 나쁘게 하는 교원평가제가 아니라 정말 스승이 평가받고 게으른 선생님은 경고받는 교원평가제의 빠른 시행도 필요한 것 같다.

시민운동 활성화하고 진로적성교육 강화해야

교육당국의 역할도 중요하나 공교육 정상화를 위해선 학부모와 선생님이 나서야 할 것 같다. 김영숙 교장과 시호코 교장과 같은 교육자가 많이 나오도록 해야 한다. 아니 대다수가 그런 선생님이 돼야 하는 것이 아닌가. 언론 등이 나서 훌륭한 교사를 발굴하고 이들이 누구보다 사회에서 존경받게 하면서 한국의 페스탈로치가 많이 나오도록 해야 한다.
 
시민사회에서도 동네마다 마을마다 ‘엄마학교’ 같은 모임이나 시민운동 단체가 구성돼 우리의 공교육을 감시하고 후원해야 한다. 공교육을 해치는 ‘대입망국병’을 치유하기 위해서는 초중등학교에서의 진로적성교육 강화도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