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정신인가

페이지 정보

작성자 제 정신 댓글 0건 조회 637회 작성일 09-04-03 12:50

본문

임성규 신임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위원장이 어제 회견에서 “민노총을 이 시대 희망으로 만들겠다”고 했다.
 
 민노총이 희망이 아니라 절망과 공분을 빚는 현실을 알기는 아는 모양이다.
 
비록 과도체제라고 하나 새 지도부가 올곧게 선택한다면 체질 개선이 불가능하지는 않다.
 
 노동운동의 지평도 넓힐 수 있다. 가장 시급한 것은 신뢰·도덕성 회복이다. 진솔한 반성도 필요하다.

민노총이 강경파 득세 속에 정치 투쟁에만 치중해 사회 혼란을 부채질하지 않을까 우려하는 이가 많다.
 
임 신임 위원장의 자세부터 그렇다. 그제 대의원대회 대회사에서 “5월1일 전국 곳곳에 총반격의 깃발을 꽂자.
 
80만 조합원의 단결투쟁으로 이명박정권을 끝장내야 한다”고 외치지 않았는가.
 
 노동운동 지도자가 할 말이겠는가. 민주 절차로 선출된 합법적 정부를 힘으로 뒤집겠다는 발상이 어느 시대, 국가에서 통할지도 의문이다. 20세기 초반의 제정 러시아로 시계추를 되돌리자는 것인가.

민노총은 사면초가 신세다. 도덕성은 성폭행 사건으로 땅에 떨어졌다. 탈퇴 도미노도 뼈아프다.
 
얼마 전에는 공금 횡령, 인사개입 비리 등의 실상을 고발한 ‘민주노총 충격보고서’가 발간됐다.
 
지난달 자체토론회에서도 “내부 곳곳에 암이 자라고 있다”는 통렬한 진단이 나왔다.
 
위험신호가 무수히 번쩍거리고 있는 것이다. 상황이 이러니 차라리 초강경 노선을 택해 조직 장악력을 높이면서 위기를 넘기자는 유혹이 강해질 수 있다.
 
 ‘제2의 촛불’을 획책하는 도발적 발언이 무성한 것은 그래서일 것이다. 하지만 이는 자멸의 길에 지나지 않는다. 정도를 찾아야 한다.

국민은 아직 기대를 접지 않았다. 민노총이 상호 소통적인 노사문화의 한 축으로 자리 잡아 산업평화를 일궈내기를 바란다.
 
하지만 민노총의 체질이 변하지 않으면 그런 미래는 열릴 수 없다. 새 지도부의 책임이 무겁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