짙어져만가는 여당 ‘위장이혼’ 의혹
페이지 정보
작성자 ‘위장이혼’ 댓글 0건 조회 1,984회 작성일 07-02-07 13:58본문
짙어져만가는 여당 ‘위장이혼’ 의혹
6일 결행된 열린우리당 의원의 집단탈당을 놓고 뒷말이 무성하다. 부도 등에 대비해 부부가 우선 재산을 분할해 갈라선 뒤 일이 해결되면 다시 합치는 이른바 ‘위장이혼’이라는 의혹이 짙어지고 있는 것이다. 이미 시작된 지금의 대선 레이스에서는 승리가 사실상 어렵다는 결론이 나자 일단 탈당파들이 당 밖에서 대통합을 노리고 막판 대결집을 통해 ‘뒤집기’를 해보자는 시나리오가 진행되고 있다는 의구심이 일고 있는 것이다.
▶정가 ‘위장이혼’ 전운(戰雲)=우선 집단탈당 사태로 분당 이후 최대 위기를 맞이한 열린우리당의 분위기가 의외로 덤덤하고 나아가 한가하기조차 한 것이 이상하다. 떠나는 사람은 “대통합의 장에서 다시 만나자”고 웃는 낯으로 인사를 건네는가 하면, 남는 사람도 “안타깝다”고만 말할 뿐이다.
한 초선의원은 “이별은 했지만 대통합의 씨앗은 뿌려졌다”는 말로 결국 다시 합친다는 것을 확신하는 표정이었다.
아직은 당에 남아 있는 정동영 전 의장은 “통합의 바다에서 다시 만날 것”이라는 말을 남겨 이 같은 ‘위장이혼’ 의혹을 더 부추기고 있으며 탈당의원들도 “노무현 대통령에게 협조할 것”이라는 말로서 ‘남’이 아님을 은근히 내비쳤다.
하지만 우리당 잔류세력과 친노 쪽에선 공식적으로 위장이혼론을 전면 부정하고 있다. 일단 탈당을 했으면 다시 당에 들어오거나 뭉치는 일은 쉽지 않은 게 정치권의 생리라는 주장이다. 따라서 ‘대분열→대통합→막판 역전론’은 현실성이 없다는 것이다.
오히려 오는 14일 전당대회 이후 더 큰 규모의 2차 집단탈당이 있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한 재선의원은 “전대 이후 통합신당 작업이 차질을 빚으면 최소 50명의 의원이 추가 탈당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한나라당은 위장이혼론을 강력히 제기하고 있다. 한나라당은 7일 “집단탈당은 ‘치밀하게 기획된 위장이혼 사기극’”이라며 “우리당은 2, 3개 교섭단체로 흩어졌다가 완전국민경선을 통해 통합 후보를 추대하는 방식으로 막판 반전을 노리고 있다”고 전날에 이어 맹공을 퍼부었다.
▶대선판도 흔들 변수 되나=한나라당이 위장이혼 의혹을 신경 쓰는 것은 안전가도를 달리고 있는 대선가도에 메가톤급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초록은 동색’이라고 집단탈당 의원들이 향후 대결집과 대반전에 올인하면 대선주자 ‘빅3’를 확보하고 있는 한나라당도 최종 승리를 장담할 수 없다고 보는 듯하다.
한나라당 일각에선 집단탈당파의 위장이혼 후의 ‘합방’시기를 오는 11월께로 보고 있다. 이럴 경우 범여권 대항마의 부재 상황은 오랫동안 이어진다. 이에 따라 이명박 전 시장, 박근혜 전 대표, 손학규 전 지사 간의 ‘빅3’ 내부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가능성도 있다. 더욱이 후보 단일화가 실패하거나 탈당 주자가 나타나는 극단적인 상황도 배제할 수 없다.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가 연일 “위장이혼으로 법의 심판을 피할 수 있을지는 몰라도 국민들의 정치적 심판은 결코 면할 수 없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경고하고 있는 것도 이 같은 이유에서다.
또 여권의 분화는 제3후보 부상을 자극할 수 있다는 점도 한나라당의 경계 대상이다. 우리당의 통합신당 추진 경로가 다변화되면서 제3후보가 기존 ‘여권 열차’를 탑승하는 데 부담이 적어지면서 정치 참여 명분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김경식 케이엠조사연구소 대표는 “우리당의 집단탈당으로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 문국현 유한킴벌리 사장, 박원순 변호사 등 범여권 제3후보 영입론이 탄력을 받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결국 위장이혼 의혹은 한나라당 ‘빅3’ 일변도의 대선구도 판 자체의 흔들기와 결부돼 있어 당분간 논란의 한복판에 서게 됐다.
[이 게시물은 전체관리자님에 의해 2007-10-10 06:51:43 나도한마디에서 복사 됨]▶정가 ‘위장이혼’ 전운(戰雲)=우선 집단탈당 사태로 분당 이후 최대 위기를 맞이한 열린우리당의 분위기가 의외로 덤덤하고 나아가 한가하기조차 한 것이 이상하다. 떠나는 사람은 “대통합의 장에서 다시 만나자”고 웃는 낯으로 인사를 건네는가 하면, 남는 사람도 “안타깝다”고만 말할 뿐이다.
한 초선의원은 “이별은 했지만 대통합의 씨앗은 뿌려졌다”는 말로 결국 다시 합친다는 것을 확신하는 표정이었다.
아직은 당에 남아 있는 정동영 전 의장은 “통합의 바다에서 다시 만날 것”이라는 말을 남겨 이 같은 ‘위장이혼’ 의혹을 더 부추기고 있으며 탈당의원들도 “노무현 대통령에게 협조할 것”이라는 말로서 ‘남’이 아님을 은근히 내비쳤다.
하지만 우리당 잔류세력과 친노 쪽에선 공식적으로 위장이혼론을 전면 부정하고 있다. 일단 탈당을 했으면 다시 당에 들어오거나 뭉치는 일은 쉽지 않은 게 정치권의 생리라는 주장이다. 따라서 ‘대분열→대통합→막판 역전론’은 현실성이 없다는 것이다.
오히려 오는 14일 전당대회 이후 더 큰 규모의 2차 집단탈당이 있을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한 재선의원은 “전대 이후 통합신당 작업이 차질을 빚으면 최소 50명의 의원이 추가 탈당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반면 한나라당은 위장이혼론을 강력히 제기하고 있다. 한나라당은 7일 “집단탈당은 ‘치밀하게 기획된 위장이혼 사기극’”이라며 “우리당은 2, 3개 교섭단체로 흩어졌다가 완전국민경선을 통해 통합 후보를 추대하는 방식으로 막판 반전을 노리고 있다”고 전날에 이어 맹공을 퍼부었다.
▶대선판도 흔들 변수 되나=한나라당이 위장이혼 의혹을 신경 쓰는 것은 안전가도를 달리고 있는 대선가도에 메가톤급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초록은 동색’이라고 집단탈당 의원들이 향후 대결집과 대반전에 올인하면 대선주자 ‘빅3’를 확보하고 있는 한나라당도 최종 승리를 장담할 수 없다고 보는 듯하다.
한나라당 일각에선 집단탈당파의 위장이혼 후의 ‘합방’시기를 오는 11월께로 보고 있다. 이럴 경우 범여권 대항마의 부재 상황은 오랫동안 이어진다. 이에 따라 이명박 전 시장, 박근혜 전 대표, 손학규 전 지사 간의 ‘빅3’ 내부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가능성도 있다. 더욱이 후보 단일화가 실패하거나 탈당 주자가 나타나는 극단적인 상황도 배제할 수 없다.
강재섭 한나라당 대표가 연일 “위장이혼으로 법의 심판을 피할 수 있을지는 몰라도 국민들의 정치적 심판은 결코 면할 수 없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경고하고 있는 것도 이 같은 이유에서다.
또 여권의 분화는 제3후보 부상을 자극할 수 있다는 점도 한나라당의 경계 대상이다. 우리당의 통합신당 추진 경로가 다변화되면서 제3후보가 기존 ‘여권 열차’를 탑승하는 데 부담이 적어지면서 정치 참여 명분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김경식 케이엠조사연구소 대표는 “우리당의 집단탈당으로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 문국현 유한킴벌리 사장, 박원순 변호사 등 범여권 제3후보 영입론이 탄력을 받을 수 있다”고 전망했다.
결국 위장이혼 의혹은 한나라당 ‘빅3’ 일변도의 대선구도 판 자체의 흔들기와 결부돼 있어 당분간 논란의 한복판에 서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