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력 검증, 지식사회 윤리 높이는 계기로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학력 검증 댓글 0건 조회 729회 작성일 07-08-24 08:06

본문

신정아 전 동국대 교수에서 시작된 학벌 위조 파문이 일파만파로 확산되고 있다. 예술계·방송계·종교계 등 우리 사회 곳곳에서 심한 몸살을 앓더니 드디어 지식사회의 기반인 학계로 번졌다.
 

한국학술진흥재단에 최근 5년간 신고한 미국 박사학위 취득자 4000여 명 가운데 약 7%가 인증되지 않은 엉터리 대학에서 학위를 받았다고 한다. 이들 가운데 일부는 버젓이 대학교수가 됐다는 것이다.

 

우리 사회의 학벌 만능주의가 학벌 위조를 불러왔다는 주장도 있다. 어느 정도 일리는 있지만, 전적으로 ‘사회 탓’으로 돌리는 것은 무책임한 해석에 불과하다.

 

 우리 사회에는 소위 ‘가방 끈이 짧아도’ 떳떳하게 밝히고는 밤낮으로 열심히 노력해 타의 모범이 된 사람이 부지기수다. ‘사회 탓’ 하는 것은 이들에 대한 모독이다.

 

어떤 이유에서든 학벌을 속여 출세하려 했던 것은 도덕적으로 용납될 수 없다. 지식사회의 근간을 뒤흔드는 행동이기 때문이다.

 

특히 학위를 속이고 대학교수가 된 것은 사실상 범죄행위다. 꼭 박사학위가 있어야 교수가 될 수 있다는 말은 아니다.

 

세계적으로는 실기·실무 분야의 경우 학위보다 능력을 중시하는 추세다. 그러나 대학이 이론적인 실력 검증을 위해 학위를 요구했는데, 이를 속인다면 사기나 다름없다.

 

외국에는 가짜 학위를 파는 대학·인터넷 사이트가 판을 치는데, 우리 학계에는 제대로 된 학력 검증 시스템이 없는 것은 큰 문제다. 대부분 대학도 교수 채용 시 명확히 확인하지 않는다. 뒤늦게 일부 대학이 교직원 학위 검증에 나섰다.

 

 학위가 임용의 전제조건이 되는 다른 대학·연구소들도 검토해 볼 만하다고 본다.

 

거짓은 밝혀져야 하지만, 악의적으로 ‘마녀 사냥’에 나서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 우리 사회가 받은 상처는 크지만, 양약(良藥)이 될 수 있다.

 

지난해부터 일부 인사의 논문 부정 사건을 겪으면서 논문 윤리의식이 높아진 점을 상기해 보자. 이번 파문을 통해 우리 지식사회의 도덕적 기반이 한 차원 더 높아지길 기대한다.

[이 게시물은 전체관리자님에 의해 2007-10-10 06:59:16 나도한마디에서 복사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