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운하 다리 68곳 철거·개축, 비용 2조 추가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경부운하 댓글 1건 조회 1,506회 작성일 08-03-25 13:51본문
경부운하 다리 68곳 철거·개축, 비용 2조 추가
[한겨레]
이명박 정부가 추진 중인 ‘한반도 대운하’ 건설 계획에 따라 경부운하가 건설되면, 2500t급 바지선이 오가는 것을 전제로 한강과 낙동강에 놓인 다리 136개 가운데 68개를 허물거나 고쳐 지어야 한다는 실측 결과가 나왔다. 지금까지 대운하 건설 계획을 측면 지원해 온 한반도대운하연구회(연구회)는 “운하 구간에는 5천t짜리 배가 다닐 수 있으며, 손을 봐야 하는 다리 수도 25개뿐”이라고 주장해 왔다.
운하 건설로 손봐야 하는 다리 수가 애초보다 크게 늘어남에 따라 운하 건설비도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또 운항하는 배의 크기도 절반으로 줄임에 따라, 연구회가 그동안 내놓은 운하 물동량 예측치도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24일 <한겨레>가 연구회를 통해 입수한 ‘경부운하 주식회사’(가칭·운하건설에 참여할 건설사 컨소시엄)의 ‘경부운하 민간투자사업’이란 제목의 보고서를 보면, 운하 건설 이후 철거해야 하는 다리는 서울 반포대교 밑을 지나는 잠수교 등 9개, 전면 개축이 필요한 다리는 경북 상주 지역을 지나는 낙단대교 등 13개로 조사됐다. 부분 개축이 필요한 다리는 서울 구간의 반포대교·잠실대교를 포함해 12개이고, 다릿 상판을 들어 올리는 다리는 삼랑진교 등 3개, 기초를 보강해야 하는 다리는 경기 여주와 강원도 원주를 잇는 목계대교 등 31개에 이르렀다. 경북 칠곡에서 낙동강을 지나는 경부 고속철도교도 기초 보강 대상으로 꼽혔다. 이에 따라 운하건설이 현실화할 경우, 서울~부산 축에서 현재 하루 9만1900명을 나르는 고속철도의 운행 차질이 예상되는 등 교통 대란이 예상된다.
이 보고서는 연구회의 주도로 대운하 사업에 참여를 준비 중인 건설회사들이 구간을 나눠 현장 조사한 결과를 모아 분석한 결과물이다. 연구회에서 운하 연구 작업을 진행해 온 조원철 연세대 교수(토목공학)는 “경부운하 구간에 대한 교량 검토는 이것으로 마무리됐다”고 말했다.
박창근 관동대 교수(토목공학)는 “한강 교량은 새로 짓는 데 1200억원, 일반 지방도의 교량은 400억원 정도 든다”며 “수십개의 다리를 다시 손보려면 건설 비용에 수조원이 추가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조 교수는 “교량 개축 비용으로 2조3천억원을 추가 산정해야 하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또한 운하를 오가는 배의 규모도 5천t에서 2500t으로 사실상 낮춰 잡음에 따라 연구회가 주장해 온 물류 효과도 근본적인 재검토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임석민 한신대 교수(경제학)는 “컨테이너당 수송비가 늘어 안 그래도 열악한 운하의 운송 경쟁력이 결정타를 맞게 됐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조 교수는 “연구회의 안은 2500t을 기초로 해 5천t의 운행 가능성도 검토했던 것”이라며 “애초 연구회 안에서 바뀐 것은 없다”고 말했다.
[한겨레]
이명박 정부가 추진 중인 ‘한반도 대운하’ 건설 계획에 따라 경부운하가 건설되면, 2500t급 바지선이 오가는 것을 전제로 한강과 낙동강에 놓인 다리 136개 가운데 68개를 허물거나 고쳐 지어야 한다는 실측 결과가 나왔다. 지금까지 대운하 건설 계획을 측면 지원해 온 한반도대운하연구회(연구회)는 “운하 구간에는 5천t짜리 배가 다닐 수 있으며, 손을 봐야 하는 다리 수도 25개뿐”이라고 주장해 왔다.
운하 건설로 손봐야 하는 다리 수가 애초보다 크게 늘어남에 따라 운하 건설비도 크게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또 운항하는 배의 크기도 절반으로 줄임에 따라, 연구회가 그동안 내놓은 운하 물동량 예측치도 수정이 불가피해졌다.
24일 <한겨레>가 연구회를 통해 입수한 ‘경부운하 주식회사’(가칭·운하건설에 참여할 건설사 컨소시엄)의 ‘경부운하 민간투자사업’이란 제목의 보고서를 보면, 운하 건설 이후 철거해야 하는 다리는 서울 반포대교 밑을 지나는 잠수교 등 9개, 전면 개축이 필요한 다리는 경북 상주 지역을 지나는 낙단대교 등 13개로 조사됐다. 부분 개축이 필요한 다리는 서울 구간의 반포대교·잠실대교를 포함해 12개이고, 다릿 상판을 들어 올리는 다리는 삼랑진교 등 3개, 기초를 보강해야 하는 다리는 경기 여주와 강원도 원주를 잇는 목계대교 등 31개에 이르렀다. 경북 칠곡에서 낙동강을 지나는 경부 고속철도교도 기초 보강 대상으로 꼽혔다. 이에 따라 운하건설이 현실화할 경우, 서울~부산 축에서 현재 하루 9만1900명을 나르는 고속철도의 운행 차질이 예상되는 등 교통 대란이 예상된다.
이 보고서는 연구회의 주도로 대운하 사업에 참여를 준비 중인 건설회사들이 구간을 나눠 현장 조사한 결과를 모아 분석한 결과물이다. 연구회에서 운하 연구 작업을 진행해 온 조원철 연세대 교수(토목공학)는 “경부운하 구간에 대한 교량 검토는 이것으로 마무리됐다”고 말했다.
박창근 관동대 교수(토목공학)는 “한강 교량은 새로 짓는 데 1200억원, 일반 지방도의 교량은 400억원 정도 든다”며 “수십개의 다리를 다시 손보려면 건설 비용에 수조원이 추가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조 교수는 “교량 개축 비용으로 2조3천억원을 추가 산정해야 하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또한 운하를 오가는 배의 규모도 5천t에서 2500t으로 사실상 낮춰 잡음에 따라 연구회가 주장해 온 물류 효과도 근본적인 재검토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임석민 한신대 교수(경제학)는 “컨테이너당 수송비가 늘어 안 그래도 열악한 운하의 운송 경쟁력이 결정타를 맞게 됐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조 교수는 “연구회의 안은 2500t을 기초로 해 5천t의 운행 가능성도 검토했던 것”이라며 “애초 연구회 안에서 바뀐 것은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