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청공무원노동조합

경남도청공무원노동조합
  • 오늘접속 : 395
  • 전체접속 : 11,094,995

메인메뉴

본문컨텐츠

나도 한마디Home>참여마당>나도 한마디

뒷담화 하는 심리

페이지 정보

작성자 GPT 댓글 10건 조회 5,068회 작성일 25-09-18 08:28

본문

심리학적으로 몇 가지 주요 원인을 중심으로 뒷담화하는 사람들의 심리를 이해해볼 수 있습니다.

​1. 소속감과 유대감 형성
​사람들은 공통의 적이나 관심사를 통해 쉽게 유대감을 느낍니다. 특정 대상을 함께 비난함으로써 다른 사람들과 '우리'라는 소속감을 강화하려는 심리가 작용하는 거죠. 일종의 '사회적 결속'을 다지는 행위로, 특히 조직 내에서 자신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영향력을 키우고 싶을 때 나타납니다.

​2. 자기 효능감과 우월감 충족
​다른 사람을 깎아내림으로써 자신을 더 나은 사람으로 느끼려는 심리입니다. 뒷담화를 통해 자신은 그 사람과 달리 실수하지 않고, 더 유능하다는 느낌을 받으며 자기효능감을 높이려는 거죠. 특히 자존감이 낮거나 불안정한 사람들이 이런 방식을 통해 자신의 가치를 확인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3. 스트레스와 부정적 감정 해소
​직장 생활에서 오는 불만이나 스트레스, 질투, 분노 같은 부정적인 감정을 직접적으로 표현하기 어려울 때 뒷담화가 감정의 배출구 역할을 합니다. 누군가와 함께 불만을 털어놓으며 감정을 해소하고 심리적인 위안을 얻으려는 심리죠. 하지만 이는 일시적인 해소일 뿐, 근본적인 문제 해결에는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4. 정보 공유와 권력 과시
​뒷담화는 때로는 중요한 정보를 공유하는 것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나만 아는 이야기'를 퍼뜨림으로써 자신이 조직 내에서 중요한 정보를 얻는 사람이라는 권력을 과시하는 심리입니다. 이는 다른 사람들의 관심을 끌고, 자신의 영향력을 넓히려는 의도로 이어지기도 합니다.

​5. 불안감과 통제 욕구
​조직 내 불확실한 상황이나 변화에 대한 불안감을 느낄 때, 특정 사람이나 상황에 대해 뒷담화를 하며 이를 통제하려는 심리가 발동하기도 합니다. '그 사람은 원래 저래', '이 상황은 이렇게 될 거야'라고 단정함으로써 예측 불가능한 상황에 대한 불안을 줄이려는 거죠.
​이러한 심리적 요인 외에도, 단순히 습관적으로 뒷담화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는 어릴 때부터 형성된 관계 맺기 방식의 일부이거나,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은 결과일 수 있습니다.
​뒷담화를 하는 사람들을 대할 때는 그들의 심리를 이해하되, 감정적으로 휘말리지 않고 적절한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목록

6.님의 댓글

6. 작성일

6. 누가봐도 폐급짓 하고 돌아다니는데 말해도 안들어서 답답할때.

1님의 댓글

1 작성일

찔리나봐요? ㅎㅎ

대면맞짱님의 댓글

대면맞짱 작성일

뒷담화 자체가 자기가 부족하다는 반증임(특히 윗사람이 아랫사람 에대한 뒷담화는 자기 얼굴 침뱉기인지 모르는 사람 있더라)

ㅅ님의 댓글

작성일

어떤 국서무 전임자 뒷담 엄청 하던데 ㅋ 지만 잘났다 이기지

ㄹ님의 댓글

작성일

본능, 도파민 생성

치료님의 댓글

치료 작성일

이런사람 심리 치료 가능한가요?

제발~~^^

여기도 있고 저기도 있고님의 댓글

여기도 있고 저기도 있고 작성일

욕 처먹게 하는 사람도 있잔항요

긍정마인드님의 댓글

긍정마인드 작성일

멀리해야 할 대표적인 인간 유형은
  불평불만 많은 인간
  남뒷담화하는 인간

한심아님의 댓글

한심아 작성일

허구헌날 메신저 두들기며 남 욕하는 너
그래 너
제발 일이나 해라


니 메신저 답장해주는거도 지친다

투장땡님의 댓글

투장땡 작성일

안 걸리면 장땡, 모두가 공감하는 거면 장땡

하단카피라이터

경상남도청공무원노동조합 / 주소 (51154) 경남 창원시 의창구 중앙대로 300 (사림동 1) / 대표전화 055.211.2580~3 / 팩스 055.211.2589 / 메일 ako2582@korea.kr
Copyright(c)경상남도청공무원노동조합.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