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 잘못하면 반드시 실패한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반드시 댓글 1건 조회 1,191회 작성일 10-08-24 16:02본문
MB정부가 막 반환점을 돌려 하고 있다. 임기 절반을 마친 것이다. 그러면 MB정부는 선거전에서 내세운 공약들을 잘 지키고 국민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가. 정부여당 관계자들은 입을 모아 말한다.
“서민은 춥고 국민은 불안했다”. 그러나 민주당의 이러한 평처럼 다수 국민은 총체적으로 실패한 2년반이었다고 말한다.
양극화 심화, 중산층 붕괴, 빈곤층 증가
MB정부가 큰 소리 칠 수 없는 가장 직접적 이유는 경제 때문이다. 경제지표는 조금 좋아졌을지 모르나 대다수 국민은 경제 상황이 나빠졌다고 판단한다. 양극화는 심화됐으며 중산층은 붕괴했고 빈곤층은 증가했다. 지니계수는 0.314, 소득배율은 5.76으로 역사상 가장 불평등이 심하다는 것을 입증하고 있다.
정치와 사회도 국민 기대를 만족시킨 것은 아니다. 초기의 강부자 고소영 인사에 이어 최근 인사까지 능력과 도덕성 보다는 측근이라는 이유로 임용되는 사례가 비일비재했다.
외교안보통일 분야도 역주행했다는 비난이 무성하다. 민주정부 10년동안 어렵게 달성한 남북평화교류 분위기는 천안함 사태가 상징하듯 한반도 위기라는 냉전시대로 되돌아갔다.
그러면 MB정부가 성공하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하는가. 해답은 이미 나와있다. 상당수 MB정부 관계자들도 잘 알고 있다.
무엇보다 필요한 것은 인사이다. 인사가 만사라 하지 않았는가. 최근 인사청문회에 나오는 인물들로 MB정부 고위직이 채워질 때 국민들은 절대로 MB정부를 지지하지 않을 것이다.
소통의 정치, 민주주의 회복, 진짜 친서민 정책
그 뿐 아니다. 신재민 문화체육관광부장관 후보자는 위장전입 5회에 부동산 투기 의혹, 그리고 부인의 위장취업 의혹까지 받고 있다.
마지막으로 김태호 총리 후보를 보자. 그는 도지사시절 재산을 10배 불렸고 군수 시절에는 특혜의혹 업체서 선거자금으로 거액을 빌리는 등 자고 일어나면 의혹이 터져 40대 총리후보 신선미를 잃은 지 오래이다.
한나라당은 지난 10년 민주개혁정부 시절 위장전입을 했다고, 부동산투기를 했다고, 그리고 논문중복 게재 의혹이 있다고 숱한 인물을 낙마시켰다.
댓글목록
후보들님의 댓글
후보들 작성일
한국 사회에 요즘 ‘정의론 신드롬’이 일고 있다고 한다. <정의란 무엇인가>의 저자인 미국 하버드대 마이클 샌델 교수의 방한으로 나타난 이 현상은 “인간의 비참은 불공정에서 생겨난다. 정의만이 불공정과 비참을 제거할 수 있다”는 석가모니의 가르침을 생각하면, 지금 우리 사회의 어떤 갈증의 표출인 듯싶다.
국회 인사청문회가 연일 후보자들의 ‘사과’로 분주하다. 자고나면 불거지는 도덕성 의혹만큼 사과도 늘어나는 모습이다.
조현오 경찰청장 후보자는 23일 국회 행정안전위 인사청문회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과 천안함 유가족과 관련한 사려 깊지 못한 발언에 대해 진심으로 죄송하단 말씀을 드린다”고 사과했다. 앞서 20일엔 이재훈 지식경제부, 박재완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가 각각 ‘쪽방촌’ 투기와 위장전입에 대해 사과했다. 이인복 대법관 후보자도 지난 12일 위장전입 사실을 시인했다. 버티기식 변명으로 일관하는 것에 비하면 이들의 ‘사과’는 좀 더 정의에 다가선 듯한 것인지도 모르겠다.
문제는 사과의 남발이다. 최근 후보자들의 사과 모습을 보면 솔직함을 넘어 담담하다. 망설임도 없다. 사과를 통과의례나 면죄부쯤으로 여기는 듯하다. 실제 그 연장선에서 여당은 부동산 투기를 한 후보조차 “장관직을 수행할 수 없을 정도의 흠이 아니다”라고 옹호한다. 우리 사회 빈부 불공정의 핵심인 부동산 투기조차 허물이 되지 않는다면, “그럼 살인이라도 해야 한다는 건가”(여당 관계자)라는 조소처럼 무엇이 결격사유가 될 수 있을까.
‘사과’는 “잘못을 인정하고 용서를 빈다”는 뜻이다. 그 속엔 필연적으로 ‘잘못을 바로잡음’의 의지가 들어 있는 것이다. 특히 공인의 경우 그 ‘바로잡음’의 책임은 더 무겁다. 적어도 국회라면 부동산 투기, 부당이득 등 반사회적 범법에 대해선 사과를 허물 덮는 명분으로 삼아선 안된다. 그렇지 않으면 우리는 앞으로도 ‘사과’만 남발되는 인사청문회를 보게 될 수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