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大權이야,바보야
페이지 정보
작성자 문제 댓글 0건 조회 1,381회 작성일 09-05-11 13:51본문
문제는 大權이야,바보야
부자간에도 나눠 갖지 못하는 게 권력이다. 지금 이명박 대통령과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갈등은 나눠 가질 수 없는 최고의 권력, 이른바 대권을 둘러싸고 벌이는 진검승부다. 쉽게 말하는 화합이나 포용으로 풀릴 단순한 갈등이 아니다. 이 대통령과 박희태 대표가 여당 재보선 참패의 수습책으로 마련한 친박계 김무성의 원내대표 추대 카드를 박 전 대표가 거부함으로써 그러한 권력 투쟁의 성격은 더욱 선명해졌다. 추대가 경선원칙에 어긋난다든지, 카드를 받을 경우 친박계도 실정(失政)에 책임을 공유해야 한다든지, 자신의 의사도 묻지 않고 친박계를 기용키로 한 게 정치 도의에 맞지 않는다든지 등은 거부 배경의 잔가지일 뿐 뿌리가 아니다.
MB가 대권가도의 걸림돌?
박 전 대표는 현시점에서 차기 대권에 가장 가까이 가 있는 인물이다. 그런 그가 자신의 대권가도에 가장 큰 걸림돌로 여기는 것은 야당이 아니라 이 대통령일지도 모른다. 상황은 물론 가변적이나, 지금은 지난 대선과 마찬가지로 여당 후보=대통령이라는 등식이 성립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이 대통령과는 후보 경선 때 사투를 벌인 상흔들이 남아 있다. 총선 공천과 정부·여당 인사 등에서 "국정의 동반자"라는 자신에 대한 이 대통령의 다짐이 지켜지지 않았다는 불신도 똬리를 틀고 있다.
이런 정황 때문에 박 전 대표는 '차기'와 관련하여 이 대통령의 협조를 기대하느니 차라리 후보 자리를 쟁취하는 게 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계산했음직하다. 더군다나 선거 때마다 자신의 위력을 보여줬으며 야당보다 더 큰 정부 견제세력이 돼 자신의 동의 없이는 원활한 국정 운영이 어렵다는 파워를 과시했다. 권력의 속성상 시간은 자기편이며, 대통령과의 힘겨루기에서 불리한 것만은 아니라고 판단할 수도 있다. 그래서 이 대통령이 '차기'에 대한 협조 약속까지는 아니더라도 최소한 대권가도에 걸림돌이 되지 않으리라는 믿음이 생길 때까지 그의 압박은 계속될 것이다.
그러나 이 대통령 쪽도 박 전 대표의 이러한 기대나 요구에 부응할 만큼의 "진정성"을 보여주기가 쉽지 않다. 후보 경선 때의 앙금은 그렇다 쳐도 박 전 대표가 그동안 중요한 시점에 정부 정책과 입장의 반대편에 서는 일이 많았고, 선거 때도 당과 맞섬으로써 국정 운영에 차질을 빚게 했다는 생각인 것이다. 박 전 대표에 대한 이 대통령의 감정이 호의적인 것으로는 보이지 않으며, 그를 '차기'의 적임자로 보는지는 대해서도 부정적일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중대결단 외엔 백약이 무효
이 대통령으로서는 특히 박 전 대표의 '차기' 윤곽이 구체화될 경우 권력의 속성상 힘의 추가 박 전 대표에게 급속히 쏠려 출범 2년차에 정권의 레임덕 현상을 맞이하게 될 것이다. 또 그리되면 친이계는 물론 나름대로 '차기'를 겨냥하는 인사들의 이탈도 감수해야 한다.
따지고 보면 현직 대통령과 여권 내 '차기' 유력 주자 간의 갈등은 노태우와 김영삼, 김영삼과 이회창 관계에서 보았듯 새삼스런 것이 아니다. 그것이 권력의 생리다. 두 사람의 갈등은 갈라설 중대 결심을 하든지 한쪽이 백기를 들어야만 해소될 수 있는 단계로 들어섰다. 만일 그러한 중대결단을 할 수 없다면 그 갈등을 정치의 한 부분으로 여기며 감수하는 것도 방법이다. 또 야당이 약체인 상황에서 여당 내에 주류의 독주를 막을 수 있는 비주류가 있다는 게 반드시 나쁜 일만은 아닐 터이다.
MB가 대권가도의 걸림돌?
박 전 대표는 현시점에서 차기 대권에 가장 가까이 가 있는 인물이다. 그런 그가 자신의 대권가도에 가장 큰 걸림돌로 여기는 것은 야당이 아니라 이 대통령일지도 모른다. 상황은 물론 가변적이나, 지금은 지난 대선과 마찬가지로 여당 후보=대통령이라는 등식이 성립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이 대통령과는 후보 경선 때 사투를 벌인 상흔들이 남아 있다. 총선 공천과 정부·여당 인사 등에서 "국정의 동반자"라는 자신에 대한 이 대통령의 다짐이 지켜지지 않았다는 불신도 똬리를 틀고 있다.
이런 정황 때문에 박 전 대표는 '차기'와 관련하여 이 대통령의 협조를 기대하느니 차라리 후보 자리를 쟁취하는 게 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계산했음직하다. 더군다나 선거 때마다 자신의 위력을 보여줬으며 야당보다 더 큰 정부 견제세력이 돼 자신의 동의 없이는 원활한 국정 운영이 어렵다는 파워를 과시했다. 권력의 속성상 시간은 자기편이며, 대통령과의 힘겨루기에서 불리한 것만은 아니라고 판단할 수도 있다. 그래서 이 대통령이 '차기'에 대한 협조 약속까지는 아니더라도 최소한 대권가도에 걸림돌이 되지 않으리라는 믿음이 생길 때까지 그의 압박은 계속될 것이다.
그러나 이 대통령 쪽도 박 전 대표의 이러한 기대나 요구에 부응할 만큼의 "진정성"을 보여주기가 쉽지 않다. 후보 경선 때의 앙금은 그렇다 쳐도 박 전 대표가 그동안 중요한 시점에 정부 정책과 입장의 반대편에 서는 일이 많았고, 선거 때도 당과 맞섬으로써 국정 운영에 차질을 빚게 했다는 생각인 것이다. 박 전 대표에 대한 이 대통령의 감정이 호의적인 것으로는 보이지 않으며, 그를 '차기'의 적임자로 보는지는 대해서도 부정적일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다.
중대결단 외엔 백약이 무효
이 대통령으로서는 특히 박 전 대표의 '차기' 윤곽이 구체화될 경우 권력의 속성상 힘의 추가 박 전 대표에게 급속히 쏠려 출범 2년차에 정권의 레임덕 현상을 맞이하게 될 것이다. 또 그리되면 친이계는 물론 나름대로 '차기'를 겨냥하는 인사들의 이탈도 감수해야 한다.
따지고 보면 현직 대통령과 여권 내 '차기' 유력 주자 간의 갈등은 노태우와 김영삼, 김영삼과 이회창 관계에서 보았듯 새삼스런 것이 아니다. 그것이 권력의 생리다. 두 사람의 갈등은 갈라설 중대 결심을 하든지 한쪽이 백기를 들어야만 해소될 수 있는 단계로 들어섰다. 만일 그러한 중대결단을 할 수 없다면 그 갈등을 정치의 한 부분으로 여기며 감수하는 것도 방법이다. 또 야당이 약체인 상황에서 여당 내에 주류의 독주를 막을 수 있는 비주류가 있다는 게 반드시 나쁜 일만은 아닐 터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