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교육비 절감
페이지 정보
작성자 사교육비 절감 댓글 0건 조회 831회 작성일 09-01-06 08:33본문
IPTV가 내년 초부터 전국적인 실시간 방송 서비스에 들어간다.
그러나 사업적 성공 가능성이나 서비스의 유의미성을 놓고 여전히 논란이 일고 있다.
망(網)만 달리 했지 내용인즉 기존 서비스의 재탕이 아니냐는 게 논란의 핵심이다.
유료 방송 시장을 ‘진흙탕 싸움’으로 몰고 갈 게 뻔하다는 것이다. 새로운 기술을 바탕으로 한 블루오션 창출보다는 기존 시장을 레드오션으로 만들 것이라는 이야기다.
실제로 국내 1천700여만 가정에서는 종전의 케이블TV를 그대로 보던지 IPTV로 바꾸던지 둘 중의 하나를 선택해야 할 상황이다.
실제로 국내 1천700여만 가정에서는 종전의 케이블TV를 그대로 보던지 IPTV로 바꾸던지 둘 중의 하나를 선택해야 할 상황이다.
이때 IPTV는 기존의 공중파 방송이나 케이블TV와 다른 무엇인가를 시청자한테 확실히 제시하고 각인시켜야 한다.
IPTV로서는 ‘그 무엇’을 찾는 게 그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다. 그리고 ‘그 무엇’을 IPTV의 킬러 콘텐츠로 삶아야 한다. 그 무엇이 무엇이어냐 하는 게 숙제다.
아무리 생각해도 ‘교육 콘텐츠’가 그중에 으뜸이다. 조금 낭만적인 상상일 수도 있겠으나,
아무리 생각해도 ‘교육 콘텐츠’가 그중에 으뜸이다. 조금 낭만적인 상상일 수도 있겠으나,
IPTV가 드높은 창의정신으로 교육 콘텐츠에 매진할 경우, 망국병인 사교육비 절감에 크게 기여할 것은 물론이거니와 교육의 민주화에도 엄청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것은 상업적 성공은 물론이요, 기술의 혁신을 인본주의에 활용하는 효과까지 얻게 될 것이다. 이 점에 대해 더 진지하게 연구할 필요가 있다.
왜, 하필 ‘교육 콘텐츠’여야 하는가, 따져보자.
첫째 매체 선택권을 쥔 주부를 설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주부의 첫째 고민이 무엇인가. 교육이다.
왜, 하필 ‘교육 콘텐츠’여야 하는가, 따져보자.
첫째 매체 선택권을 쥔 주부를 설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주부의 첫째 고민이 무엇인가. 교육이다.
그게 어느 정도냐 하면, 지나친 교육열이 외려 망국의 원인일 만큼이다.
교육을 많이 시켜 나쁠 게 없는데, 왜 그게 문제가 돼야만 하는가. 교육 기회의 불균형 때문이다.
그 불균형은 어떻게 해결될 수 있는가. 딱 한 길 뿐이다. 학습 효과에 관해 효율성이 높은 교육을 만인에 공개하는 것이다.
과연, 그게 가능한 일인가.
IPTV가 있음으로 가능하다. 이 가능성 또한 ‘교육 콘텐츠’가 IPTV의 킬러 아이템이어야 할 이유다.
과연, 그게 가능한 일인가.
IPTV가 있음으로 가능하다. 이 가능성 또한 ‘교육 콘텐츠’가 IPTV의 킬러 아이템이어야 할 이유다.
IPTV는 공교육을 포함해, EBS 같은 공적인 교육 보조 방송은 물론이고 학원을 중심으로 한 오프라인 사교육과 메가스터디 방식의 온라인 사교육까지를 통틀 수 있는 현존 유일의 해법이다.
더구나 IPTV는 정부가 사업권을 쥐고 있다. 공적인 성격을 지닐 수밖에 없는 것.
교육에 관한 IPTV의 광범위한 포용성은 세 가지 특성에서 나온다. IPTV의 경우 EBS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채널이 다양하고,
교육에 관한 IPTV의 광범위한 포용성은 세 가지 특성에서 나온다. IPTV의 경우 EBS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채널이 다양하고,
학습 방송은 다른 프로와 비교도 할 수 없을 만큼 제작비가 저렴하며, 아주 다양한 방식의 쌍방향 학습이 가능하다는 점 때문이다.
이 세 가지 이유에 대해 EBS 및 다른 방송 프로와 비교해 보면 이해하기 쉽다.
먼저 EBS 방송 제작비의 현실과 연결해 따져보자.
고교생 대상 과외 형태의 일반 강의(메가스터디 등 인터넷 학습 사이트 방식)는 50분짜리 한 편당 70만원이다.
먼저 EBS 방송 제작비의 현실과 연결해 따져보자.
고교생 대상 과외 형태의 일반 강의(메가스터디 등 인터넷 학습 사이트 방식)는 50분짜리 한 편당 70만원이다.
태왕사신기 한편 만드는 데 450억원이 들었다 하니, 이 돈이면 이런 프로 6만 개 이상 만들 수 있다.
놀랍지 않은가. 초등학생 대상으로 수업동기를 유발하기 위해 전자칠판, 학습도구 등을 많이 써서 만든 프로의 제작비는 130만~150만원이라고 한다.
태왕사신기 한 편과 비교한다면 같은 돈으로 이런 프로 3만개 이상을 만들 수 있다.
EBS의 경우 채널이 하나이기 때문에 그 많은 교육 콘텐츠를 만들어도 보여줄 방법이 없다. (물론 인터넷에서는 VOD 형태로 가능하다.) 그러나 IPTV는 다르다. 훨씬 많은 채널을 갖기 때문이다.
EBS의 경우 채널이 하나이기 때문에 그 많은 교육 콘텐츠를 만들어도 보여줄 방법이 없다. (물론 인터넷에서는 VOD 형태로 가능하다.) 그러나 IPTV는 다르다. 훨씬 많은 채널을 갖기 때문이다.
그것도 월정액 최대 1만6천원으로. 게다가 IPTV의 최대 특징은 인터넷 기술에 의존하기 때문에 쌍방향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일방적인 학습 전달이 아니라 개인 과외처럼 문답 형식까지 가능한 것이다. 개방 교육의 최대 솔루션이 나와 있는 것.
그렇다고 사업자가 많은 걸 양보할 이유는 없다. 어차피 현재로서 IPTV의 비즈니스 모델은 월정액 유료화다.
그렇다고 사업자가 많은 걸 양보할 이유는 없다. 어차피 현재로서 IPTV의 비즈니스 모델은 월정액 유료화다.
또 그렇기 위해서는 먼저 가입자를 끌어 모아야 하고 또 이를 위해서는 콘텐츠 투자가 불가피하다.
교육 콘텐츠는 이 점에서도 투자해야 할 요소다. 사업자는 가입자를 끌어 모은 뒤 다른 형태의 수익 창출을 모색하게 될 것이다.
특히 교육 콘텐츠와 관련해 일방적으로는 내보내는 것은 IPTV 월정액에 포함시키고 쌍방향 문답식 콘텐츠는 극히 저렴한 비용으로 별도 유료화할 수도 있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교육 콘텐츠에 대한 투자로 사업자가 손해 볼 까닭은 거의 없다.
무엇보다 사교육비 절감은 국가적 과제다.
무엇보다 사교육비 절감은 국가적 과제다.
따라서 국민의 현실을 진실로 생각할 줄 아는 정부라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IPTV 사업자를 지원하는 문제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봐야 한다.
자금을 직접 지원하기 힘들다면 교육 콘텐츠 제작과 관련 특단의 세금 우대 정책을 펼 필요가 있다.
제작비만큼 다른 분야에서 발생한 과표를 줄여주는 것도 방법이다.
이를 위해 방통위도 고민해야 하겠지만 교육과학기술부도 심각하게 고민할 필요가 있다.
정부여! 그리고 IPTV 사업자여! 이 땅 엄마들한테 다음과 같이 말씀할 수 있도록 진짜로 노력해보시라.
“사교육비, 걱정되시죠. 우리가 해결합니다. 영어도 물론입니다.”
정부여! 그리고 IPTV 사업자여! 이 땅 엄마들한테 다음과 같이 말씀할 수 있도록 진짜로 노력해보시라.
“사교육비, 걱정되시죠. 우리가 해결합니다. 영어도 물론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