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청공무원노동조합

경남도청공무원노동조합
  • 오늘접속 : 399
  • 전체접속 : 10,389,954

메인메뉴

본문컨텐츠

나도 한마디Home>참여마당>나도 한마디

식량위기와 공동체 교육

페이지 정보

작성자 식량위기 댓글 0건 조회 621회 작성일 08-12-17 19:53

본문

지난봄 마디 순을 잘라 이랑마다 심어 가꾼 고구마를 캘 때,
 
주렁주렁 매달려 나온 고구마를 보면서 학생들은 탄성을 지르며 수확의 기쁨을 누렸다.
 
모닥불에 구워낸 고구마는 모락모락 김을 내며 아이들의 입맛을 돋우고, 저녁엔 간식으로 한몫을 한다.
 
다른 텃밭에서 자란 무·배추로 겨울 김장을 마쳤다.
 
처서 즈음 학생들이 정성껏 포트에 씨를 뿌리고 옮겨심어 유기농으로 가꾼 것으로, 이 김치는 내년 봄까지 아이들의 주요 부식이 될 것이다.

한 알의 밀알이 썩어서 30배, 60배, 100배의 결실을 주는 이러한 자연의 섭리는 경제한파에 얼어붙은 우리의 마음을 녹여주고,
 
황폐해진 농촌과 자연을 살려 무너진 창조질서를 회복하고, 성장과 자본가 중심의 경제정책으로 배고픈 민중의 생존 문제를 해결할 것이다.

우리는 아는가? 비만 퇴치가 현안인 배부른 선진국의 그늘에서 오늘밤도 9억명이 굶주린 채 잠을 청해야 한다는 사실을.
 
국제 곡물값은 지난해 24% 오르고 올해 50%로 급등했다.
 
곡물값 폭등으로 중남미, 아프리카 등 30여 나라에서 식량폭동이 일어나 50여명이 숨졌다.
 
이 시간도 금융·투기자본과 다국적 곡물기업들은 세계 곳곳을 누비며 ‘보이지 않는 손’으로 약소국의 경제자립을 무력화시키고,
 
지역공동체를 해체시키며, 풀뿌리 민중들의 식량주권을 짓밟고 있다. 식량위기는 이미 현실로 다가왔다.

필리핀의 예를 보자.
 
1970년대 아시아 농업선진국으로 쌀 수출을 주도한 필리핀은 지금은 쌀 수입국이 되어 마닐라 시내에는 쌀 배급을 받으려는 시민들로 장사진을 이루고 있다.
 
세계 자유무역 체제 속에서 필리핀은 세계은행과 국제통화기금(IMF)에 빚을 갚으려고 국가예산의 40~60%를 할애하면서 경쟁력 없는 농업에 지원할 겨를이 없었다.
 
값싼 농산물 수입에 의존한 농업정책은 쌀값의 국제경쟁력을 잃게 만들어 농민들이 쌀 생산을 포기하게 하였다.
 
폭등하는 쌀값 피해는 서민과 아이들의 몫이 되었다.

문제는 우리도 강 건너 불구경할 사정이 아니라는 것이다.
 
세계 5위의 식량수입국인 우리는 1990년대 이후 수입물량 35%, 금액 75%가 증가했으며,
 
이는 국제 곡물수급에 문제가 생길 경우 바로 가격 폭등으로 연결되어 ‘소리없는 쓰나미’로 다가올 것이다.
 
1970년에 80%를 넘던 식량자급률도 현재 26.8%로 급감했다.
 
우리의 쌀자급률은 96% 이상이라지만 개방유예 기간인 2014년 이후 완전개방이 되는 날이면 쌀농가의 파산은 명약관화한 일 아닌가?

식량주권 없는 식량안보란 허구다.
 
자치·자립정신을 회복하고 식량자급을 위해서 우리는 산업 중심에서 농업 중심의 사회로 전환을 준비하여 마을공동체를 살려야 한다.
 
이미 ‘전국귀농운동 본부’에서 생태적·자립적 삶을 위해 귀농인들을 돕고 있다.
 
간디가 인도의 독립보다 전국 70만개의 지역공동체를 살리는 일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것도 지역자치와 자립의 공동체 없이는 독립도 큰 의미가 없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처럼 지역과 농촌공동체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왜 우리의 학교와 사회는 많이 배울수록 농촌을 등지도록 교육하고 있는가?
 
인간을 물질과 경쟁의 노예로 전락시키는 서구식 교육은 자본주의 경제논리에 충직한 하수인을 길러낼 뿐,
 
땀 흘려 일하는 보람과 노동을 실존적 가치로 여기는 일,
 
그리고 협동과 상생의 자연공동체에서 손발로 자립하는 인간을 키워내지 못하고 있다.
 
이제 식량을 자급하고 건강한 도·농공동체를 살리는 교육과 정책으로 어떤 경제 한파가 닥쳐와도
 
 ‘자유로운 삶’을 누릴 수 있는 세상을 꿈꾸고 만들어 나가야 하지 않겠는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하단카피라이터

경상남도청공무원노동조합 / 주소 (51154) 경남 창원시 의창구 중앙대로 300 (사림동 1) / 대표전화 055.211.2580~3 / 팩스 055.211.2589 / 메일 ako2582@korea.kr
Copyright(c)경상남도청공무원노동조합.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