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주 댓글 0건 조회 861회 작성일 08-03-06 13:16본문
민노당 안에 오래 잠복해 있다가 지난 대선 참패를 계기로 불거져 나온 정파 갈등이 분당으로 마무리된 것이다. 소위 자주파나 평등파의 핵심 인사들이야 앓던 이 빠진 듯 홀가분한 기분일 수도 있겠으나, 정파를 의식하지 않던 평당원들이나 당내 사정을 모른 채 그저 진보의 대의에 손을 건넸던 지지자들로선 마음이 개운치 않을 것이다.
■ 정권 아닌 인민과의 친북을
자주파가 조직적 입당운동을 통해 당내 다수파를 이뤄 패권주의를 추구했다는 관측이 몇 해 전부터 있었다. 아마 옳은 관측일 것이다. 그런 한편, 민노당이 그 시초부터 민주적 사회주의자들과 민족주의자들의 연합체였던 것도 사실이다. 진보진영의 정치세력화에 한 쪽은 적극적이었고 다른 쪽은 소극적이었다는 점을 들어 당 내부의 적통(嫡統)을 다투는 것은 부질없다.
민노당의 원류라 할 1980년대 사회운동이 민족민주운동이라고 불렸을 때, 그 운동은 이미 이름에서부터 민족주의 지향과 민주사회주의 지향을 함께 품고 있었다. 자주파라 해서 이 미쳐 날뛰는 시장지상주의 해일을 경계하지 않았을 리 없고, 평등파라 해서 한반도가 제국주의자들의 놀이터가 되는 걸 걱정하지 않았을 리 없다. 그러나 주사위는 던져졌다.
대선 이후의 힘겨루기 마당에 ‘종북주의’라는 자극적 어휘가 나풀댄 탓에, 이제 민노당에 남아 있는 이들은 종북주의자가 되고 말았다. 이 고약한 딱지에 반대파들의 얕은꾀가 묻어 있다 하더라도, 자주파는 남 탓하기 앞서 신실히 반구(反求)해야 한다. 그들이 제멋에 겨워 남발한 민족지상주의 수사는 평범한 유권자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했고, 민노당을 별난 집단으로 보이게 만들었다.
자주파라는 말도 허망하다. 이들이 평양에 대해 자주적이지 못했다고 비아냥거리려는 게 아니다. 자주파의 자주란 민족자주를 뜻하는 것일 테고, 자주파는 평양 정권을 자주의 모범으로 여기는 듯하다.
그러나 평양 정권이 과연 자주적인가? 평양이 제 뜻대로 할 수 있는 일이 도대체 뭔지 곰곰 생각해 보자. 제 인민 사납게 통제하고, 굶겨 죽이고, 핵카드를 들었다 놓았다 하며 손 벌리는 것밖에 없다. 바깥 도움 없이는 제 인민도 못 먹여 살리는 자주국가가 북한이다.
지난 10년간 남북관계는 그럭저럭 좋아졌지만, 민노당 자주파가 거기 이바지한 바는 거의 없다. 남북관계가 나아진 것은 다수의 민족주의자들을 안고 있는 중도자유주의 세력 덕분이었다. 그러니 이제 민노당도 평양 정권과의 주관적 연대는 접는 게 좋겠다. 연대감은 마땅히 북한 인민과 탈북자들을 향해야 한다. 그게 올바른 친북이다. 북한 같은 억압적 사회에서 살 생각이 추호도 없는 이들이 그 무능하고 파렴치한 정권에 추파를 보내는 건 꼴사납다.
진보신당은 평등, 생태, 평화, 연대라는 기치를 내걸고 이명박 정권의 신개발주의, 신자유주의에 맞서 싸우겠다고 다짐했다. 그 다짐이 빛 바래지 않기 바란다. 그에 앞서, 민노당이 먹고살 만한 정규직 조직노동자들만의 당이 된 게 온통 자주파의 책임이었는지도 되돌아보았으면 좋겠다.
또 패권주의라는 것이 자주파의 전유물이었는지도 되짚어보았으면 한다. 큰 권력이든 작은 권력이든, 날것의 권력이든 상징권력이든, 권력을 향한 욕망은 사람 마음속에 늘 이글거린다. 그것은 흔히 이념을 구부러뜨리고 패거리를 낳는다. 진보신당이 또 다른 분열을 겪지 않기 바란다.
■ 몇몇 지역구 출마 조정 불가피
4월 총선을 앞두고 진보정당 간의 출마 지역구 조정문제가 거론되고 있는 모양이다. 지역구 조정은 분당의 명분 자체를 허무는 일이다. 그러나 몇몇 지역구의 전략적 조정은 불가피하다. 진보정당들의 서너 후보는 가느다라나마 지역구 당선 가능성이 있다. 근친증오 때문에 그 가느다란 희망의 싹까지 잘라내선 안 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