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허가 간판계획제 도입을”
페이지 정보
작성자 간판계획제 댓글 0건 조회 786회 작성일 08-02-18 08:43본문
|
도시의 흉물로 자리잡고 있는 간판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앙정부와 지방정부는 물론 전문가들까지 팔을 걷어붙였다. 서울신문도 행정자치부 등과 공동으로 ‘아름다운 간판 가꾸기’ 운동을 적극 전개하기로 했다.
행자부 주최, 서울신문 후원으로 13∼14일 이틀 동안 충남 태안에서 열악한 간판 문제를 공론화하기 위해 ‘간판시범사업 및 공공디자인 워크숍’이 처음 개최됐다.
정규상 협성대 시각디자인학과 교수는 “우리나라 간판은 지나치게 크고 수량이 많을 뿐만 아니라, 디자인 측면을 고려하지 않아 오히려 시각적으로 역효과를 불러오고 있다.”고
진단한 뒤 “간판과 주변환경이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건물에서 간판을 어느 부분에 어떤 형태로 설치할지 미리 확정해야 건축 허가를 내주는 ‘건축허가 사전간판계획제’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최만진 경상대 건축학부 교수는 “건물이 상징성을 가지면 그 자체가 간판이며, 오히려 간판을 붙이는 게 손해”라면서 “현재 개별적으로 다뤄지고 있는 도시공간·건축·간판·조명 등에 대한 통합 설계가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윤종영 한양대 디자인학과 교수는 “개인의 심리성이 중요하게 고려되는 사적 디자인과 달리, 공공 디자인은 조화성·안정성·기능성이 중시돼야 한다.”면서 “간판을 비롯한 공공 디자인에 대한 이해도를 끌어올릴 필요도 있다.”고 지적했다.
특히 윤 교수는 간판 등 도시 디자인을 재정비, 독특한 개성 연출을 통해 연간 4500만명의 관광객을 유치한 일본 요코하마시 사례 등도 함께 소개했다. 최명식 경희대 디자인학부 교수는 “간판을 포함한 건축물은 도시의 얼굴이자, 공간의 질을 결정하는 기본 요소”라면서 “규제 중심의 사고에서 탈피해 과감한 디자인 정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성호 행자부 생활여건개선팀장은 “간판은 도시에서 없어져야 할 정비 대상이 아니라, 공간의 질을 높이기 위한 개선 대상”이라면서 “지난해 간판정비사업을 처음으로 실시해 초석 다지기를 했다면, 올해부터는 전문가들의 의견 수렴과 공론화 과정을 거쳐 제도를 개선하는 등 사업을 본격화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행자부는 올해 서울 명동거리 등 간판시범지역 20곳을 선정, 모두 60억원을 지원할 계획이다. 한국전력공사는 이들 지역에 ‘전선 지중화 사업’을 우선 실시하고, 산업자원부도 간판 디자인 개발에 5억원을 배정하는 등 측면 지원에 나설 예정이다.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