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시간 상담 35만원”···고액 ‘대입컨설팅’ 기승
페이지 정보
작성자 1시간 댓글 0건 조회 1,384회 작성일 07-12-27 11:19본문
“1시간 상담 35만원”···고액 ‘대입컨설팅’ 기승
대통령 당선자는 최근 한 기자회견에서 효율과 쇄신을 강조했다.
[경향신문 2007-12-27 04:40:32]
|
첫 수능등급제 실시와 대학별 수능영역가중치 적용, 사상 초유의 수능등급 재조정 사태 등 2008학년도 대학입시가 극심한 혼란을 겪고 있는 가운데 서울 강남과 영등포, 마포 등 학원가를 중심으로 고가(高價)의 입시컨설팅업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수능성적표가 배부된 직후부터 실채점 대학입시상담컨설팅서비스를 제공해온 ㅅ업체의 경우 입시담당자와 1시간 동안 1대 1 상담을 받기 위해서는 35만원을 내야 한다.
가채점 기간 중에는 30만원이었지만 성적표가 나오고 나서 5만원이 올랐다. 서비스를 2번 이상 신청할 경우(70만원)에는 10만원을 할인해 준다고 광고하고 있지만 만만찮은 가격이다.
하지만 이렇게 고가임에도 불구하고 이미 선착순 500명이 모두 예약이 끝나 더 이상 상담 신청을 받지 않고 있다.
또 오프라인 컨설팅업체인 ㅇ사의 경우 1대 1 상담 2번에 38만5000원을, 또 다른 ㅇ사도 90분 상담에 40만원을 받는 등 유명 입시컨설팅업체 대부분이 1회 상담에 40만원에 육박하는 컨설팅비를 받고 있다.
30초에 1000원에서 1500원의 정보이용료를 내야 하는 유료전화상담컨설팅이나 2만~5만원대의 화상·온라인상담 서비스가 있기는 하지만 역시 부담스러운 가격이다.
비싼 비용을 지불하고 상담을 받더라도 이들 업체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어디까지 신뢰할 것인가도 고민거리다. 이들 업체가 제공하는 입시정보가 모두 제각각이기 때문인데, 저마다 전문가와 첨단 프로그램 등 높은 신뢰도를 앞세우지만 검증할 수 있는 마땅한 수단은 없다.
때문에 한곳이 아니라 두곳, 세곳의 컨설팅업체에서 상담을 받아야 하는 부담도 생겼다.
올해 수능시험을 친 고모양(19)은 “1대 1 상담은 비싸서 엄두도 내지 못하고 대신 온라인 상담을 3곳에서 받고 있다. 몇만원 안되는 것 같아도 합치면 부담이 적지 않다”면서 “전형료에 컨설팅 비용까지. 이러다 대학에 떨어지면 부모님을 대할 수 있을지 걱정”이라고 말했다.
정모군(18)도 “컨설팅을 받아봐도 전부 다른 이야기를 해서 어디를 믿어야할지 모르겠다”면서 “대부분 하는 이야기가 하향 안전지원을 하라는 이야기뿐인데 그 말을 누가 못하나. 부모님 듣기 좋으라고 두루뭉수리한 이야기만 하다 끝나기 일쑤”라고 불만을 토로했다.
참교육을위한학부모회 윤숙자 회장은 “대입제도가 너무 복잡해지다보니 입시설명회만으로는 내용조차 이해하기 어려운 상황이 됐고, 1대 1 고액컨설팅이 생겨날 수밖에 없는 구조가 만들어졌다”면서 “결국 경제력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이런 서비스는 받지 못하게 되는 상황이 됐고 상대적인 박탈감 등 부작용도 우려된다”고 말했다.
그는 또 “이런 서비스는 한번에 끝나지 않고 반복해야 하기 때문에 결국 100만원이 넘는 금액을 지출할 수밖에 없다”면서 “이대로 고액 컨설팅산업이 진행되면 사교육비에 새로운 고정비용이 추가되는 것이 불을 보듯 뻔하다”고 덧붙였다. |
방만한 정부조직과 왜곡된 정책을 합리적으로 개편하고
조정해 효율성을 높이겠다는 뜻을 거듭 밝혔다.
이러한 당위성에 대해선 대선 결과에서도 드러났듯이
대다수 국민이 동의하는 것이지만 문제는 구현 방법이다.
공무원과 공공노조의 거센 저항이 예상되고 총선을 앞두고 법 개정에
소극적 자세를 보일 가능성이 적지 않기 때문이다.
새 정부가 가장 먼저 신경 써야 할 것은 정부조직 슬림화와 공기업 개혁이다.
새 정부가 가장 먼저 신경 써야 할 것은 정부조직 슬림화와 공기업 개혁이다.
정부조직이 축소되면 불필요한 규제가 대폭 줄어 투자 확대로
경기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뿐 아니라 예산 절감 효과도 작지 않다.
노무현 정부가 “일만 잘하면 된다”면서 5년간 중앙과 지방을 합해
공무원을 10만명 늘리고 각종 위원회를 52개나 신설했는데,
늘어난 조직과 인원으로 인한 각종 규제로 기업경쟁력과 시장의 활기가 심각하게 훼손된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추가 인건비만도 연간 5조원이라니 심각한 문제다.
공기업 개혁 또한 시급하다.
공기업 개혁 또한 시급하다.
295개 공공기관은 지난 5년간 정부로부터 출연·출자 형태로 180조원을 지원받고도 지난해 말 부채는 400조원으로
2002년에 비해 34%나 늘었지만 직원수와 인건비는 각각 42%, 78% 늘리는 방만경영을 해왔다.
감사 때마다 조직이기주의와 과도한 복지, 낮은 생산성 등이 지적돼 왔지만
‘가재는 게 편’이듯 퇴직 후 자리를 의식한 감독공무원들의 사실상 묵인으로 개선은 시늉에 그쳐왔다.
공무원연금 개혁안이 끝내 마련되지 않은 것도 공무원 이기주의에 다름 아니다.
개혁은 새 정부가 힘이 있을 때 과감하게 밀어붙여야 한다.
개혁은 새 정부가 힘이 있을 때 과감하게 밀어붙여야 한다.
공무원과 공공노조의 거센 반발과 표를 의식한 정치인들의 집단이기주의를
헤쳐나가려면 국민이 적극 지지하는 정권 초기가 아니면 성공하기 어렵다.
충분히 의견을 수렴하되 결정된 사항은 신속히 추진해야 한다.
때를 놓쳐 실패했던 과거의 경험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