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우주항공 마무리 수순 구체화
페이지 정보
작성자 경남정경뉴스 댓글 0건 조회 1,240회 작성일 22-10-26 14:39본문
국내 우주산업 육성을 위한 우주산업 클러스터가 대전·전남·경남 3각 체제로 가시화되고 있다. 대전시가 우주산업 클러스터 3각 체제의 한 축으로 지정되면서다. 이에 따라 당초 전남 발사체·경남 위성 특화지구로 구성됐던 한국 우주산업 클러스터는 대전 연구·인재개발 특화지구를 공식 추가하면서 3각 체제를 완성했다
.
실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7일 대전 연구·인재개발 분야 특화지구를 추가로 지정하는 내용의 우주산업 협력지구(클러스터) 계획 수정안을 원안 의결했다. 이어 과기정통부는 지난 18일 우주산업 클러스터 지정 및 지정 해제 요건을 규정한 우주개발진흥법 시행령 일부 개정안을 입법예고했다. 11월 국가우주위원회 심의를 통한 최종 지정 절차만 남았다.
사실 대전은 우리나라 최초의 한국 인공위성 우리별 1호 발사를 성공시킨 KAIST, 최근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와 달 탐사 궤도선 '다누리호'의 성공을 이끈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자리 잡은 우주산업의 선도 도시다. 또한 한국천문연구원과 국방과학연구소(ADD),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 대덕특구에 우주 관련 13개 출연연의 연구개발 기반이 탄탄하게 구축돼 있고, 한화시스템과 LIG넥스원 대기업 연구소도 위치해 있다.
대학도 많다. 충남대와 한밭대, KAIST, 공주대는 우주 분야 인재 육성에 특화된 영역을 구축 중이다. 특히 쎄트렉아이, 솔탑 등 국내 최고 민간 우주 기업이 모두 대전에 있다. 우준호 대전시 미래산업과장은 "우주 분야는 융복합 산업이라서 범위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다르지만, 주요 우주 기업체는 60곳이 있다"며 "드론과 국방, 센서, 제어, 소부품, 소재 등 관련된 모든 산업으로 범위를 확대하면 300곳 이상의 산업군이 대전에 형성돼 있다"고 설명했다.
산·학·연·관 협의체인 '대전 뉴스페이스 발전 협의회'는 우주산업 육성 계획 용역에 착수했다. 11월 용역이 마무리되면 대전의 우주산업 추진 전략 및 우주 관련 특화사업 발굴 등 다양한 우주산업 육성 방안이 나온다. 이를 통해 우주 연구개발의 핵심 지역이자 인재 양성의 요람인 대전이 시작이자 중심이 되는 우주산업 선순환 체계를 만들어 나간다는 복안이다.
우주산업 육성 기반도 마련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공모한 지역산업거점기관 지원사업에 선정돼 국비 48억원을 확보하면 내년부터 2025년까지 우주산업 분야 R&D 인프라를 공동 활용할 수 있는 기술 지원 플랫폼을 구축하게 된다.
또한 항공우주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밭대와 손잡고 3차원(3D) 프린팅 기술을 통한 우주산업 생태계를 구축한다. 연평균 22%씩 커지는 우주 3D 프린팅 시장 규모는 2026년이면 7조원 이상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3D 프린팅 기술로 새로운 부품, 신기능을 가진 부품이 대전에서 가장 먼저 개발되면 지역 제조산업의 패러다임 변화를 이끄는 계기가 될 것이란 기대다.
대전시는 우주청 신설에 대해서도 진행 과정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대선 당시에는 '항공우주청'이라고 했다가 최근 '우주항공청'으로 명칭을 바꾼 점에 주목하고 있다. 우주항공청은 연내 특별법 제정을 통해 설립이 추진된다. 이와 관련해 전문가들은 서로 이질적인 '우주'와 '항공'을 통합하면 효율적인 정책 추진이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한다
. 대전세종연구원은 우주정책 전략 수립 연구 결과에서 우주 전담조직 업무를 우주와 항공을 분리해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우주 분야는 R&D를 중심으로, 항공 분야는 실용화·상용화를 중심으로 지원이 이뤄지면서 일관된 정책 추진이 어렵다고 봤다. 이에 따라 우주 분야에 강한 대전에는 우주청을, 항공 분야에 특화된 경남에는 항공청을 설립하는 것이 합리적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와같이 대전시는 물밑에서 전략적 움직임이 본격화 하고 있으며,목표 달성을 위한 마무리 수순에 도달해 있는 모양새다 경남도와 사천시는 긴장 해야하며 실행성있는 대응책 마련에 돌입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
실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7일 대전 연구·인재개발 분야 특화지구를 추가로 지정하는 내용의 우주산업 협력지구(클러스터) 계획 수정안을 원안 의결했다. 이어 과기정통부는 지난 18일 우주산업 클러스터 지정 및 지정 해제 요건을 규정한 우주개발진흥법 시행령 일부 개정안을 입법예고했다. 11월 국가우주위원회 심의를 통한 최종 지정 절차만 남았다.
사실 대전은 우리나라 최초의 한국 인공위성 우리별 1호 발사를 성공시킨 KAIST, 최근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와 달 탐사 궤도선 '다누리호'의 성공을 이끈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자리 잡은 우주산업의 선도 도시다. 또한 한국천문연구원과 국방과학연구소(ADD),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 대덕특구에 우주 관련 13개 출연연의 연구개발 기반이 탄탄하게 구축돼 있고, 한화시스템과 LIG넥스원 대기업 연구소도 위치해 있다.
대학도 많다. 충남대와 한밭대, KAIST, 공주대는 우주 분야 인재 육성에 특화된 영역을 구축 중이다. 특히 쎄트렉아이, 솔탑 등 국내 최고 민간 우주 기업이 모두 대전에 있다. 우준호 대전시 미래산업과장은 "우주 분야는 융복합 산업이라서 범위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다르지만, 주요 우주 기업체는 60곳이 있다"며 "드론과 국방, 센서, 제어, 소부품, 소재 등 관련된 모든 산업으로 범위를 확대하면 300곳 이상의 산업군이 대전에 형성돼 있다"고 설명했다.
산·학·연·관 협의체인 '대전 뉴스페이스 발전 협의회'는 우주산업 육성 계획 용역에 착수했다. 11월 용역이 마무리되면 대전의 우주산업 추진 전략 및 우주 관련 특화사업 발굴 등 다양한 우주산업 육성 방안이 나온다. 이를 통해 우주 연구개발의 핵심 지역이자 인재 양성의 요람인 대전이 시작이자 중심이 되는 우주산업 선순환 체계를 만들어 나간다는 복안이다.
우주산업 육성 기반도 마련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공모한 지역산업거점기관 지원사업에 선정돼 국비 48억원을 확보하면 내년부터 2025년까지 우주산업 분야 R&D 인프라를 공동 활용할 수 있는 기술 지원 플랫폼을 구축하게 된다.
또한 항공우주연구원, 한국생산기술연구원, 한밭대와 손잡고 3차원(3D) 프린팅 기술을 통한 우주산업 생태계를 구축한다. 연평균 22%씩 커지는 우주 3D 프린팅 시장 규모는 2026년이면 7조원 이상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3D 프린팅 기술로 새로운 부품, 신기능을 가진 부품이 대전에서 가장 먼저 개발되면 지역 제조산업의 패러다임 변화를 이끄는 계기가 될 것이란 기대다.
대전시는 우주청 신설에 대해서도 진행 과정을 예의 주시하고 있다. 윤석열 대통령이 대선 당시에는 '항공우주청'이라고 했다가 최근 '우주항공청'으로 명칭을 바꾼 점에 주목하고 있다. 우주항공청은 연내 특별법 제정을 통해 설립이 추진된다. 이와 관련해 전문가들은 서로 이질적인 '우주'와 '항공'을 통합하면 효율적인 정책 추진이 어려울 것이라고 지적한다
. 대전세종연구원은 우주정책 전략 수립 연구 결과에서 우주 전담조직 업무를 우주와 항공을 분리해 추진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우주 분야는 R&D를 중심으로, 항공 분야는 실용화·상용화를 중심으로 지원이 이뤄지면서 일관된 정책 추진이 어렵다고 봤다. 이에 따라 우주 분야에 강한 대전에는 우주청을, 항공 분야에 특화된 경남에는 항공청을 설립하는 것이 합리적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의견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와같이 대전시는 물밑에서 전략적 움직임이 본격화 하고 있으며,목표 달성을 위한 마무리 수순에 도달해 있는 모양새다 경남도와 사천시는 긴장 해야하며 실행성있는 대응책 마련에 돌입해야 한다고 사료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