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청공무원노동조합

경남도청공무원노동조합
  • 오늘접속 : 684
  • 전체접속 : 10,072,969

메인메뉴

본문컨텐츠

나도 한마디Home>참여마당>나도 한마디

四體不勤五穀不分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해석맨 댓글 0건 조회 1,521회 작성일 07-06-15 18:57

본문

'사지를 부지런히 움직이지 않고, 오곡을 구분할 줄도 모른다'라는 뜻으로, 옛날에 글만 읽는 선비들을 조롱하는 뜻으로 사용된 말이다. 《논어》의 〈미자()〉편에서 유래되었다.
 
 
:넉 사
:몸 체
:아닐 불
:부지런할 근
:다섯 오
:곡식 곡
:아닐 불
:나눌 분
중국의 춘추전국시대공자()는 자신의 이상을 펼치기 위하여 여러 나라를 주유()하였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어느 날, 제자인 자로()가 일행에 뒤처져서 가다가, 밭에서 김을 매고 있는 농부를 만나 "우리 선생님을 보지 못하셨습니까"라고 물었다.
그 농부는 "사지를 부지런히 움직여 일하지 않고, 오곡도 구분할 줄 모르는 사람을 어찌 선생이라고 할 수 있겠는가(, , )"라고 말하고는 지팡이를 세워 놓고 잡초를 뽑았다. 무안해진 자로는 두 손을 마주잡고 공손한 태도로 서 있었다.
그 농부는 자로가 예절 바른 사람인 것을 알고 집에 데려가서 닭을 잡고 밥을 지어 대접하고는 자신의 두 아들과 만나게 해주었다. 다음 날, 자로는 일행을 뒤쫓아가 만나서 공자에게 그 농부와 만난 일에 대하여 이야기하였다. 공자는 "그 사람은 은자()이다"라고 말하고는 자로에게 되돌아가서 그를 다시 만나보도록 하였으나, 그 농부는 이미 그 곳을 떠나고 없었다.
이 이야기는 공자의 언행을 기록한 《논어》의 〈미자〉편에 실려 있다. 여기서 유래하여 '사체불근, 오곡불분'은 우리말의 책상물림이라는 말처럼 공부만 하여 세상 물정에 어둡고, 살아가는 데 필요한 실용 지식이 결핍된 사람을 조롱하는 말로 사용된다.
[이 게시물은 전체관리자님에 의해 2007-10-10 06:57:26 나도한마디에서 복사 됨]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하단카피라이터

경상남도청공무원노동조합 / 주소 (51154) 경남 창원시 의창구 중앙대로 300 (사림동 1) / 대표전화 055.211.2580~3 / 팩스 055.211.2589 / 메일 ako2582@korea.kr
Copyright(c)경상남도청공무원노동조합.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