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청공무원노동조합

경남도청공무원노동조합
  • 오늘접속 : 955
  • 전체접속 : 9,776,048

메인메뉴

본문컨텐츠

나도 한마디Home>참여마당>나도 한마디

민노당지지 잘 되가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안지지 댓글 0건 조회 2,344회 작성일 06-06-02 13:41

본문

민주노동당 지지선언으로 과연 공무원노조와 민주노동당에서 얻은 것은 무엇일까?

노동단체의 완전한 정치자유는 중앙의 일방적인 지시보다는 지역실정에 맞는 후보를 지지하고 여러 정당을 통한 출마가 노조의 발전을 위해서 바람직하다.

중앙의 방침만 변경이 되었어도 공무원노조 출신은 최소 50명 이상 각기 다른 정당 이름으로 출마하여 당선되었을 것이다

 
[5·31민심] 노동자 = 민노당 지지 깨졌나
    
[중앙일보 김기찬] 5.31 지방선거의 결과에 대해 노동계도 충격을 받고 있다. 노동자를 대표한다는 민주노동당이 예상에 훨씬 못 미치는 성과를 냈기 때문이다. 한국노총은 1일 논평에서 "노동자, 서민대중이 민노당에 대한 지지를 거두었다"며 "명분에만 집착한 채 어느 한쪽만 대변해서는 진정한 노동자.서민의 대중정당으로 성장할 수 없음을 깨달아야 한다"고 말했다. 민노당에 대해 간접적이지만 분명한 비판을 한 것이다.
반면 민주노총은 "지침을 통해 전 간부가 민노당 지지에 나섰지만 만족할 만한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면서도 "성찰을 통해 우일신(又日新)하는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 "노동계도 실리 위주로"=한국노총은 5.31 지방선거에서 '어느 당 후보를 찍으라'는 지침을 안 내려보냈다. 산하 노조들이 자율적으로 지지 후보를 선택하도록 했다. 한국노총 서울.부산.경기.울산 지역본부는 한나라당 후보를 지지했다. 전북지역본부는 열린우리당 후보를 선택했다. 광주지역본부는 민주당 후보를 지지했다.
그러나 민주노총은 상부에서 지침을 내려 민노당을 지지하도록 했다. 이 때문에 일부 지역에선 한국노총과 민주노총이 상호 비방전을 펴는 등 '노노 갈등'도 빚어졌다. 결과적으로는 한국노총이 지지한 후보들이 당선됐다.
노사정위 관계자는 "상부 지침에 따라 기계적으로 움직여 온 노동계의 관행적 선거운동 방식에 제동이 걸린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한국노총 산하 지역본부들이 제각각 지지 정당을 선택한 것은 노동운동도 지역의 정서와 경제를 생각하는 실리적 방향으로 변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지적했다.
◆ 노동계 후폭풍 가능성=민주노동당이 아성으로 여겨왔던 울산에서 북구청장과 동구청장 자리를 잃은 것은 상징성이 적지 않다. 울산 북구청과 동구청은 전국공무원 노조 참가자에 대한 징계를 거부했던 지역이다. 행정자치부의 지시를 민노당 출신 구청장들이 무시한 것이다.
하지만 한나라당에 이 지역 구청장 자리를 빼앗김에 따라 앞으로 이 같은 '항명'은 없을 것으로 보인다.
노동계 관계자는 "민노당은 강경투쟁 일변도의 노선이 유권자에게 먹히지 않는다는 사실을 의식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민주노총이 여름 투쟁(하투)을 강행할 경우 민노당은 부담을 느낄 수도 있다"고 말했다.
노동운동이 노총이나 산별노조 중심에서 지역 중심으로 옮겨갈 가능성도 점쳐지고 있다. 한국노총 지부들이 저마다 다른 정당을 선택한 방식이다. 5.31 선거에서 민주노총의 획일적인 지침이 별다른 성과를 보지 못했기 때문이다. 부산대 황한식 교수는 "선거에서든 파업에서든 중앙의 지침에 따른 획일적 방식은 점차 시들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게시물은 전체관리자님에 의해 2007-10-10 06:09:26 나도한마디에서 복사 됨]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하단카피라이터

경상남도청공무원노동조합 / 주소 (51154) 경남 창원시 의창구 중앙대로 300 (사림동 1) / 대표전화 055.211.2580~3 / 팩스 055.211.2589 / 메일 ako2582@korea.kr
Copyright(c)경상남도청공무원노동조합.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