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 국어에는 `비`와 관련된 단어가 유난히 많다. `가랑비`, `가을비`, `궂은비`, `꿀비`, `눈비`, `는개`, `단비`, `목비`, `못비`, `보슬비`, `줄비` 등 40여 단어를 헤아리니 가히 우리 민족은 `비`에 관심이 많았던 민족이었음이 틀림이 없다.
이들 `비` 이름은 대체로 그 모양, 상태, 역할, 시기 등에 기초해서 만들어진 것이다. 이렇듯 명명의 관점이 분명하니 그 이름의 유래도 쉽게 드러난다. 빗줄기가 `실`〔絲〕과 같아서`실비`, 오랫동안 끄느름하게 내린다고 해서 `궂은비`, 필요할 때 알맞게 온다고 해서 `단비`, `이슬`과 같다고 해서 `이슬비`, `안개`와 같다고 해서 `안개비`이다.
그러면 `가랑비`는 어떤 비일까? `가늘게 내리는 비`라는 정도만 알 수 있을 뿐 그 유래가 쉽게 떠오르지 않는다. 그러나 `가랑비`의 15세기 어형을 잘 분석해 보고 사용 예를 찬찬히 살펴보면 `가랑비`의 명명의 근거와 그 유래도 어렵지 않게 밝혀진다.
`가랑비`는 15세기의 “月印釋譜”에 로 나온다. 이것은 `가랑`과 `비`〔雨〕로 분석된다. `비`〔雨〕가 모음과 모음 사이에서 유성음화된 사실을 반영한 표기이다. 이에 따라 가랑비의 `비`가 ‘雨’라는 사실은 분명히 밝혀진 셈이다. 문제는 선행 요소 의 정체이다.
혹자는 지금의 `가루`〔粉〕가 15세기에 였다는 사실에 주목하여 를 `가루와 같은 비`로 해석하기도 한다. 그러나 이는 신빙성이 없다. `가루`〔粉〕와 관련시킬 수 있는 비에는 `가랑비`만 있는 것이 아니라 `보슬비`, `이슬비` 등과 같은 여타의 가느다란 비도 있기 때문이다.
또 `가`를 `가랑`〔分〕의 어간 로 간주하여 를 `갈라진 비`로 해석하기도 하나 이 또한 믿을 수 없다. `비` 이름에 `가랑`〔分〕을 이용할 가능성은 거의 없어 보이기 때문이다. `가랑비`를 `가랑`〔分〕과 연결시켜 이해한 것은 실제 와 관계가 있는 `가랑머리`(두 가랑이로 땋은 머리), `가랑비녀`(머리에서 나란히 두 가랑이가 진 비녀), `가랑이`(원몸의 끝이 갈라져 나란히 벌어진 부분) 등의 `가랑`에 유추되었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가랑`는 `안개`〔霧〕의 뜻이다. “杜詩諺解”(11:11)의 (老年花似霧中看)에 나오는 `가랑`이 바로 ‘霧’의 그것이다. “杜詩諺解” 초간본 속의 는 중간본에는 `안개`로 바뀌어 나온다. 이로써 가 `안개비`라는 사실이 자명해진다. 그리고 모양에 근거해서 만들어진 단어라는 사실도 드러난다. `가랑`이 `안개비`라는 사실은 지금 `가랑비`를 `안개비`라 하고 있는 사실을 통해서도 더욱 분명히 알 수 있다.
15세기의 는 17세기의 “譯語類解”(상:2)에 로 변하여 나온다. 의 `가랑`은 `가`에 접미사 ‘-앙’이 결합된 어형으로 파악된다. 이 는 18세기 이후 ‘가랑비’로 변하여 지금에 이르고 있다. ‘가랑비’에 대한 엉뚱한 어원 설이 나오게 된 것은, 그 어형이 많이 달라졌고 또 ‘霧’의 `가랑`이라는 단어가 ‘안개’라는 단어에 밀려나 일찍 사라졌기 때문으로 파악된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