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청공무원노동조합

경남도청공무원노동조합
  • 오늘접속 : 63
  • 전체접속 : 9,762,560

메인메뉴

본문컨텐츠

나도 한마디Home>참여마당>나도 한마디

낙하산 인사 쫌 시군으로 보내지 맙시다!!!!! 도청 직원으로써 부끄럽습니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시군공무원 댓글 10건 조회 6,503회 작성일 17-07-06 14:58

본문

도청 직원들 자리를 왜 시군에 낙하산을 보내서 충당하십니까

  류순현 경남조지사 권한대행이 단계적으로 합리적으로 감축해 나가기로 하였는데

  감축은 커녕 시군으로 더 보낼려고 꼼수를 부리고 있으니...

  도청 노조위원장님!!!!  도청 직원들만 식구처럼 감싸지 말고 공정하게 사측에

  건의하여 주세요.

댓글목록

행자부님의 댓글

행자부 작성일

낙하산 참으로 안타까운 말입니다.

큰 틀에서 들여다보면 시군과 상급기관인 도, 행자부간 적정 인사교류(물론 1:1
이 아니지만)는 해당 지자체의 예산확보와 인맥활용 등 부정적인 측면보다
긍정적인 측면이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시군의 인사적체를 모리는 바는 아니지만, 사무관은 18개 시군 전체가 아닌 일부
시군만 도 자원이 내려가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큰 틀에서 인사교류를 이해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행자부2님의 댓글

행자부2 작성일

시군에서는 도청에서 내려오지 말라하는 마당에
도처노조에서는 이참에 고시출신은 행자부에서 채용해서 지방에 내려 보냈으니
행자부에서 내려온 높으신분들과 함께 행자부로 다시 보내는 투쟁을 하면 되겠내 ㅋㅋ

인맥활용님의 댓글

인맥활용 작성일

인맥활용해서 예산확보하는것은 병폐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인맥이 없어도 마땅히 필요한 곳에 예산이 지원되어야 건강한 사회가 되지 않겠습니까

몰라도님의 댓글의 댓글

몰라도 작성일

몰라도 참 모른다~^^  당신 공무원 맞소
 예산편성은 기계가 하는 것이 아니고  사람이 하는것입니다
 즉 사람이 하다보니 아는 사람.로비하는 사람(자치단체)에게 더 준다는 것이지요

누가모르는지님의 댓글의 댓글

누가모르는지 작성일

그러니 문제라는 말입니다

찢어진 낙하산님의 댓글

찢어진 낙하산 작성일

시군 공무원이여
제발 좀 낙하산 같은 소리 하지마라

도청 공무원도 시군출신이다

고향가서 1년간 고행을 위해 일하다가 오고싶다.

먼곳에 돈써가며 가고 싶은사람 누가 있겠냐마는
그래도 한번가서 유대관계 잘 맺고 오면

팔이 안으로 굽는다고 아무래도 덕이 안되겠나

낙하산 낙하산하지말고 맡은 일이나 열심히 해라

그나저나님의 댓글

그나저나 작성일

월욜 발령일짠데,아적도 전보 안깨는 이유가 머꼬?
도청에서 이삼실 저삼실 이동하는 사람은 몰라도 지역이동하는 사람은 방도 구해야 하는 사람도 있고 그런데...
장난하나?

좀 솔직합시다님의 댓글

좀 솔직합시다 작성일

좀 솔직해집시다

우리가 시군에 있다가 도청에 온건 승진때문에 온거 아닙니까?

퇴직때 고향가서 1년간 고향을 위해 일하다가 오고싶다라고 하는거 그것도 욕심인듯

합니다.

찍어진 낙...님 고향을 위해 일하고 싶다면 도청 오지 말고 시군에서 열심히 일했어야죠

재물보다 사람 아끼라는 말은님의 댓글

재물보다 사람 아끼라는 말은 작성일

재물보다 사람 아끼라는 말은
이 나라 모든이가 귀담아 들어야
통치자는 아랫사람의 말 잘 듣고
묻는것도 부끄러워하지 말아야
신하의 죄 임금이 용서할 수 있지만
임금의 죄는 용서해줄 사람 없어








전호근 경희대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

춘추시대의 패자 제나라 환공이 어느 날 사냥을 나갔다가 한 노인을 만났다. 나이를 물어보니 83세라 한다. 환공은 노인에게 오래 산 복으로 자신을 위해 축원해 달라고 했다.

노인은 이렇게 말했다.

"임금님을 위해 축원합니다. 재물을 가벼이 여기시고 사람을 중시하십시오."

"좋은 말씀입니다. 좋은 말은 한 번으로 그쳐서는 안 되니 한 마디 더 해주십시오."

"임금님을 위해 축원합니다. 임금께서는 부디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마십시오."

"그 또한 좋은 말씀입니다. 좋은 말은 반드시 세 번 해야 합니다. 한 마디 더 해주십시오."

"임금님을 위해 축원합니다. 임금께서는 부디 신하들과 백성들에게 죄를 짓지 마십시오."

예상치 못한 말은 들은 환공은 크게 화를 내며 이렇게 따졌다.

"과인은 자식이 어버이에게 죄를 짓고 신하가 임금에게 죄를 짓는다는 말은 들었어도 임금이 신하에게 죄를 짓는다는 말은 처음이오."

노인은 이렇게 대답했다.

"그렇지 않습니다. 자식이 죄를 지으면 어버이가 용서해주면 되고 신하가 죄를 지으면 임금이 용서해주면 됩니다. 하지만, 임금이 죄를 지으면 용서해 줄 사람이 없습니다. 그래서 옛날 폭군 걸왕이 탕에게 쫓겨났고 주왕이 무왕에게 죽임을 당한 것입니다."

이 말을 들은 환공은 노인에게 절하고 그로 하여금 고을을 다스리게 한 뒤 떠났다.

유향의 '신서'에 나오는, 2천년도 더 된 이야기지만 그럼에도 노인의 세 마디 말은 참으로 옳다.

재물보다 사람을 아끼라는 첫 번째 말은 이 나라에 사는 모든 이가 귀 담아 들어야 한다. 저 비극적인 세월호 참사도, 침몰 원인을 아직 다 밝히지는 못했으나 따지고 보면 사람을 재물보다 천시하는 풍조가 근본 원인이 아니었을까 싶다. 적재적량을 훨씬 넘어서는 화물을 적재한 이유나 적재된 화물을 고박하지 않은 이유는 모두 사람보다 재물을 아꼈기 때문이 아닌가.

아랫사람에게 묻는 것을 부끄러워하지 말라는 두 번째 말은 모름지기 통치자는 낮은 곳에 있는 사람의 말을 잘 들어야 한다는 뜻이다. 말을 뜻하는 한자 言(언)은 입[口]에서 나오는 음파[≡]가 위쪽으로 퍼져 나가는 모양을 본 뜬 글자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입이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이다. 아래에 위치한 입[口]은 신분이 낮은 사람의 말을 뜻한다. 그러니 말이 통한다는 것은 높은 사람의 말이 아래로 전달된다는 뜻이 아니라 낮은 사람의 말이 위에까지 전달된다는 것을 뜻한다.

고래로 높은 자리에 있는 사람의 말이 통하지 않는 경우란 없다. 신분이나 지위가 높은 사람의 말은 아무리 목소리를 낮게 하더라도 다 알아서 듣기 때문이다. 그래서 높은 자리에 있는 사람의 말은 말[言]이라고 하지 않는다. 그것은 말이 아니라 명령[令]이기 때문이다. 명령을 뜻하는 한자 령(令)은 입[△]이 위쪽에 위치하고 아래에 사람이 엎드려 기는 모양[ ]을 본뜬 글자다. 곧 아래에 있는 사람이 신분이 높은 사람이 하는 말에 복종하는 모양을 그린 글자가 령(令)자의 본뜻이다.

명령, 곧 권력자의 말이 쉽게 전달되는 것은 그 말이 꼭 올바르기 때문이 아니라 권력의 하수인들이 따라 움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래에 있는 사람들의 말은 잘 들리지 않는다. 때로 온 몸을 던지며 죽음으로 항거해도 그들의 말은 세상에 반향을 일으키기 어렵다. 세상은 귀머거리인 까닭이다.

마지막으로 아랫사람에게 죄를 지어서는 안 된다는 말은, 그 이유가 절묘하다. 아랫사람의 죄는 윗사람이 용서해줄 수 있지만 윗사람이 지은 죄를 아랫사람이 용서해줄 수는 없는 법이다. 용서라는 말이 그렇다. 용서란 '꾸짖거나 벌을 주지 않고 너그럽게 봐준다'는 뜻이다. 애초에 꾸짖거나 벌을 줄 수 있는 사람들의 일이 용서다. 그러니 아랫사람에게 죄를 짓는다면 그가 나를 용서할 길이 없으니 나 역시 그에게 용서를 구할 수 없다. 위에 버티고 있으면서 아래에 용서를 구한다는 건 '국가 경제에 이바지한 바가 크니 사면해줘야 한다'는 말처럼 무례하고 교활한 억지다.

하단카피라이터

경상남도청공무원노동조합 / 주소 (51154) 경남 창원시 의창구 중앙대로 300 (사림동 1) / 대표전화 055.211.2580~3 / 팩스 055.211.2589 / 메일 ako2582@korea.kr
Copyright(c)경상남도청공무원노동조합.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