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청공무원노동조합

경남도청공무원노동조합
  • 오늘접속 : 34
  • 전체접속 : 10,400,429

메인메뉴

본문컨텐츠

나도 한마디Home>참여마당>나도 한마디

김태호 지사는 좀 배우시오

페이지 정보

작성자 해석자 댓글 0건 조회 3,289회 작성일 06-07-19 10:45

본문

           爲政第二(위정제이) -19
      哀公問曰: "何爲則民服?"
      애공문활   하위즉민복
     孔子對曰:"擧直조諸枉, 則民服;
      공자대왈  거직조저왕  즉민복
     擧枉조諸直, 則民不服."
      거왕조저직  즉민불복
 

애공이 물어 말하였다.

"어떻게 하면 백성이 따릅니까?

공자가 대답하여 말하였다.

"곧은 자를 들어 굽은 자 위에 놓으면 백성이 따를 것이며, 굽은 자를 들어 곧은 자 위에 놓으면 백성이 따르지 않을 것입니다."
들, 날 거 134.gif(절구구)부  총 18획 예) 間接選擧 간접선거   强制選擧 강제선거   擧家 거가  
곧을, 바로 직 109.gif(눈목)부  총 8획 예) 家直 가직   閣直 각직   剛直 강직  
놓을 조 064.gif(손수)부  총 11획 예) 擧措 거조   擧措駭妄 거조해망   驚惶罔措 경황망조  
쌓을, 버금 저 009.gif(사람인)부  총 18획 예) 建儲 건저   建儲問題 건저문제   國儲 국저  
굽을, 굽힐 왕 075.gif(나무목)부  총 8획 예) 矯枉 교왕   矯枉過直 교왕과직   不枉法 불왕법 
 
<해설> - 도올
  애공(哀公)은 문자 그대로 슬픈 군주, 공자의 생애에 있어서 공자의 조국 노 나라의 마지막 군주다. 아버지 정공(定公)이 죽고 나서 왕위를 계승한 해가 BC 494년, 공자의 나이 58세였다. 그때 애공은 10세 전후의 어린아이였다. 그의 재위 16년에 공자는 세상을 떴다. 이 대화가 이루어진 시기를 공자말년으로 본다면, 애공은 스물을 갓 넘은 아직도 어린 군주였다.
 '조'를 '놓는다'는 동사로 해석하면 '거직조저왕''곧은 것을 들어 굽은 것 위에 놓는다'는 의미가 된다. 이것은 옛날의 목수들이 나무를 쌓아 보관하는 생활지혜와 관련된 이야기를 은유적으로 정치판에 적용한 것이다. 즉 곧은 자를 들어 굽은 자 위에 놓으면 굽은 자로 하여금 곧게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세계의 불운한 시대상도 바로 굽은 자들이 바른 자 위에 앉아있기 때문에 생기는 모습이다. 곧은 자들은 굽은 자 위에 앉히면 백성들은 그러한 정치를 심복하고 따른다. 그러나 굽은 자들을 곧은 자 위에 앉히면 백성들은 반항하게 마련이다. 그렇다고 그 반항이 굽은 자들을 제거할 수 있다면 모르되 결국 그 반항의 몸부림마저 그 굽은 압제 속에서 굽어져만 가는 것이 우리 삶의 현실이다. 공자가 살고 있는 시대도 삼환(계손씨,숙손씨,맹손씨)의 폭정에 의하여 굽은 자들이 바른 자 위에서 설치고 있는 현실이었을 것이다.
[이 게시물은 전체관리자님에 의해 2007-10-10 06:09:26 나도한마디에서 복사 됨]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하단카피라이터

경상남도청공무원노동조합 / 주소 (51154) 경남 창원시 의창구 중앙대로 300 (사림동 1) / 대표전화 055.211.2580~3 / 팩스 055.211.2589 / 메일 ako2582@korea.kr
Copyright(c)경상남도청공무원노동조합.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