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청공무원노동조합

경남도청공무원노동조합
  • 오늘접속 : 873
  • 전체접속 : 9,775,966

메인메뉴

본문컨텐츠

나도 한마디Home>참여마당>나도 한마디

황량

페이지 정보

작성자 황량 댓글 0건 조회 2,066회 작성일 06-07-10 07:43

본문

[분수대] 황량(皇糧)
   
htm_2006070920225710001010-001.JPG
[중앙일보 유상철] 4년 전 일이다. 중국 허베이(河北)성 융녠(永年)현이 특별 조사위를 구성했다. '황량(皇糧)'이 새는지를 알아보기 위함이었다. 황량은 옛날 관아에서 주던 양식이다. 지금은 공무원 월급을 뜻한다. 조사 결과 429명이 적발됐다. 한 17세 학생은 5년 전부터 공무원으로 등록돼 월급을 받고 있었다. 또 이미 여러 해 전 사망한 공무원 두 명은 지하에서도 여전히 황량을 챙기고 있었다. 융녠현은 이 같은 유령 공무원 단속을 통해 260만 위안(약 3억3800만원)의 세금 낭비를 줄였다.
지난해 3월 중국에선 런위링(任玉嶺) 정치협상회의 위원이 관리 수와 이에 따른 국민 부담의 상관성을 나타내는 이른바 '관민비(官民比.관리와 민간인 비율)' 문제를 제기했다. 그에 따르면 한(漢)대의 관민비는 1:8000이었다. 8000명의 백성이 내는 세금으로 관리 1명의 생계를 부담하면 됐다. 그러다 당(唐)대 1:3000, 송(宋)대 1:2500, 명(明)대 1:1500, 청(淸)대 1:900으로 점차 백성의 부담이 커졌다. 특히 1978년의 개혁개방 초기만 해도 1:67이었던 관민비가 이젠 1:26이 돼 국민의 등골이 휘게 됐다는 게 그의 한탄이었다. 지금의 세 부담이 한나라 때에 비해 300배 이상 늘었다는 주장이었다.
중국 정부는 런 위원이 교원을 관리에 포함시키는 등 계산을 잘못했다면서 실제 관민비는 1:198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국민의 세 부담을 줄여야겠다는 필요성만큼은 절감했다. 그런 노력의 일환으로 올해 1월 1일을 기해 2500여 년이나 된 농업세 폐지를 선언했다. 농업세는 춘추시대 노(魯)나라 때부터 거둔 것으로 알려진다. 8억 중국 농민이 혜택을 보게 됐다.
기획예산처는 최근 국가 공무원 총 인건비가 20조4000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99년 10조9000억원에서 7년 만에 거의 두 배가 됐다. 정부가 공무원 숫자를 늘리는 '큰 정부'를 지향한 결과다. 지난 3년 반 동안 한국에선 황량을 먹는 이가 2만6000명 증가했다. 정부는 공공 부문의 서비스를 강화했다고 하지만, 국민의 세 부담은 만만치 않게 늘었다. 부동산 세금은 폭탄 수준이란 말이 나온다. 휘발유 세금 또한 서울이 도쿄보다 l당 385원 많다고 한다.
북한 미사일 발사에도 태연한 게, 이런 세금 폭탄에 놀랄 대로 놀란 탓이 아닐까도 싶다.
유상철 중앙데일리 문화팀장
[내 손안에 정보 조인스 모바일 2442+ NATE/magicⓝ/ez-i]
[이 게시물은 전체관리자님에 의해 2007-10-10 06:09:26 나도한마디에서 복사 됨]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하단카피라이터

경상남도청공무원노동조합 / 주소 (51154) 경남 창원시 의창구 중앙대로 300 (사림동 1) / 대표전화 055.211.2580~3 / 팩스 055.211.2589 / 메일 ako2582@korea.kr
Copyright(c)경상남도청공무원노동조합.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