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 시험 감독 수당 현실화
페이지 정보
작성자 시험 댓글 6건 조회 7,523회 작성일 22-03-17 14:12본문
이번 선거에서 지방공무원 차출을 자율로 한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런 측면에서 수십년동안 변하지 않는 공무원시험감독 자율신청을 가장한 강제 동원에 대해 이야기 해 보고자 한다.
물론 공무원 시험감독을 민간인에게 위탁하는 것이 어려운 점은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변화하는 현실(지방자치의 자율성 확대)에 맞게 뭔가 바뀌어야 하지 않을까?
즉 과거처럼 일방적인 중앙정부의 하방적 시달행정을 바꿔야 할 때이다
누가 나서야 할까? 이런 부분에 노조가 나서야 한다고 본다
직원들의 권익보호를 위해 나서야 하지 않나 생각 해봄
어떤점을 제안하나..
먼저, 국가직 시험은 국가직들이 관리감독을 하라. 시험장 등 편의 제공은 어떨 수 없다고 하나 국가직시험감독은 각 부처에서 차출해서 하면 될 것임
둘째, 지방직 협조를 얻을려면 1차 신청만 받고 할당량에 모자라는 경우 추가 신청없이 자체적으로 해결하라
셋째, 시험수당을 현실화 하라. 최소한 주말을 감안하여 최저임금의 1.5배 정도로 보면 1만원*6시간(7시~13시)=9만원 정도는 되어야 할 것이다.
아주 최소임....공무원 시험의 중요성과 스트레스 등을 감안할 때 2배는 줘야 한다고 생각함
넷째, 지방직시험 감독 수당은 해당 지자체의 자율에 맡겨라. 지방자치단체 수당까지 중앙에서 간섭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봄.
최소한 이정도는 새정부가 들어오는 시점에서는 바뀌어야 할 것이다,라고 생각해봄
인사과에서 잘 못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매번 힘들게 시험감독을 모집하는 것을 보면서
정말 감독하기 쉬운 시험은 돈도 많이 주는데, 어려운 시험이 돈도 적고 쓸데없이 감독자에게 요구만 많이 하는 모습을 보고 안타까워
글을 남김...개인적으로 시험감독을 수십번 했지만 최근에는 시험감독을 거의 신청하지 않고 있음...고리타분한 과거 행정형식에만 매여
과거처럼 공무원을 희생을 계속 요구한다면 점점 직원들 모집이 어려울 것임...
추가 제안 사항으로 시험감독시 수당 플러서 교육점수 플러스도 해당 부서에서는 검토해보심 어떨지....
이러한 것을 노조에서 나서서 관철시켜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봄...
그런 측면에서 수십년동안 변하지 않는 공무원시험감독 자율신청을 가장한 강제 동원에 대해 이야기 해 보고자 한다.
물론 공무원 시험감독을 민간인에게 위탁하는 것이 어려운 점은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변화하는 현실(지방자치의 자율성 확대)에 맞게 뭔가 바뀌어야 하지 않을까?
즉 과거처럼 일방적인 중앙정부의 하방적 시달행정을 바꿔야 할 때이다
누가 나서야 할까? 이런 부분에 노조가 나서야 한다고 본다
직원들의 권익보호를 위해 나서야 하지 않나 생각 해봄
어떤점을 제안하나..
먼저, 국가직 시험은 국가직들이 관리감독을 하라. 시험장 등 편의 제공은 어떨 수 없다고 하나 국가직시험감독은 각 부처에서 차출해서 하면 될 것임
둘째, 지방직 협조를 얻을려면 1차 신청만 받고 할당량에 모자라는 경우 추가 신청없이 자체적으로 해결하라
셋째, 시험수당을 현실화 하라. 최소한 주말을 감안하여 최저임금의 1.5배 정도로 보면 1만원*6시간(7시~13시)=9만원 정도는 되어야 할 것이다.
아주 최소임....공무원 시험의 중요성과 스트레스 등을 감안할 때 2배는 줘야 한다고 생각함
넷째, 지방직시험 감독 수당은 해당 지자체의 자율에 맡겨라. 지방자치단체 수당까지 중앙에서 간섭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봄.
최소한 이정도는 새정부가 들어오는 시점에서는 바뀌어야 할 것이다,라고 생각해봄
인사과에서 잘 못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매번 힘들게 시험감독을 모집하는 것을 보면서
정말 감독하기 쉬운 시험은 돈도 많이 주는데, 어려운 시험이 돈도 적고 쓸데없이 감독자에게 요구만 많이 하는 모습을 보고 안타까워
글을 남김...개인적으로 시험감독을 수십번 했지만 최근에는 시험감독을 거의 신청하지 않고 있음...고리타분한 과거 행정형식에만 매여
과거처럼 공무원을 희생을 계속 요구한다면 점점 직원들 모집이 어려울 것임...
추가 제안 사항으로 시험감독시 수당 플러서 교육점수 플러스도 해당 부서에서는 검토해보심 어떨지....
이러한 것을 노조에서 나서서 관철시켜야 하지 않을까 생각해봄...